학술논문
불교영성과명상치료
이용수 9
- 영문명
- Buddhist Spirituslity and Meditation-therapy
- 발행기관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인경
- 간행물 정보
-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1권, 135~16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불교영성에 기초한 명상상담은 인간이란 근본적으로 건강하고, 본래 완전하다는 인간관에 기초한다. 이때 불교영성은 초월적인 존재를 전제하지 않고, 깨달음을 향한 인간의 자질로서 본성으로 정의한다. 불교영성에 기초한 명상상담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된다. 첫째는 고통으로서 집착을 탐색하는 단계인데, 내담자가 가지는 증상으로써 집착의 양식과 그 대상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둘째는 그런 집착의 원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것이 어떤 관계에서 형성되었으며, 그것이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표출되는지를 살펴본다. 셋째로 완성과 진실의 단계는 고통의 소멸로써 본래적인 인간의 본성을 통찰하여 근본적인 깨달음을 성취하는 단계이다. 넷째는 현실 속에서 계속적으로 명상하면서 과제를 실천하는 도의 단계이다. 명상상담은 불교의 핵심적인 교설인 고집멸도(苦集滅道)의 과정이다. 이런 상담방식은 현실적인 적응보다는 본성에 대한 통찰적 명상을 더 중시한다. 실제로 단순한 현실적응은 증상으로서의 집착현상이 다시 언제든지 재발할 가능성이 많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본성에 대한 명상을 강조하는 명상상담이 요청된다. 하지만 이런 경우라고 할지라도 현실관계를 벗어난 종교적인 초월의 방식을 강조하는 작업은 결코 아니다. 다만 번뇌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보게 하고, 본래적으로 건강한 자기의 성품을 철저하게 경험함으로써 증상은 근본적으로 치료가 된다는 전략적 선택이다.
영문 초록
Buddhist Spirituality based Meditation Counseling(BSBMC) is established on the view that a human being is fundamentally health and originally perfect. Then BSBMC is not premised on an assumption of the transcendental being, but defined the real nature of human being or the special quality toward enlightenment. BSBMC is made progress toward the four steps. That is the Four Noble Truths that is confronted the suffering in our own and other`s lives. The first is to inquire into the suffering of a client. This is to quest for what is the object of attachment, and it`s whole situation. The Second is to search the cause of attachment. This is to quest for what sort of relation is it formed and how is it appeared on the surface of his or her mind. The third is to become extinct the suffering of a client. This is the step that is insighted the real nature of human being and accomplished an enlightenment. The fourth is continuously to practice the path in daily life. BSBMC is the process of the Four Noble Truths that lies in the heart of the Buddha`s teaching. BSBMC specially attach more importance to the insight meditation on the real nature of human being than to be adapted for the realities of life. Simply fitting to the realities of life can be much possibility to have a relapse of disease. To prevent this, Counseling is asked for the meditation to help a client to see the real nature of the attachment.
목차
머리말
1. 영성의 개념
2. 불교적 이해
3. 상담심리학적 접근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