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군 정신건강 연구: 종교적 대처를 중심으로

이용수  33

영문명
A Study on Military Mental Health: Focusing on Religious Coping
발행기관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저자명
김진수(도운)
간행물 정보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28권, 87~10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을 겪고 있는 군인들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개입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불교, 천주교, 기독교, 무교 집단의 스트레스, 정신건강, 종교적 대처, 군 생활 적응 간의 관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상의 목적에 따른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인의 군 생활 적응, 종교적 대처, 스트레스, 정신건강은 어떠한가?, 둘째, 군인의 군 생활 적응, 종교적 대처, 스트레스, 정신건강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종교(불교, 천주교, 기독교, 무교)에 따른 군인의 군 생활 적응, 종교적 대처, 스트레스, 정신건강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인의 군 생활 적응, 종교적 대처, 스트레스, 정신건강을 살펴보았다. 둘째, 군인의 군 생활 적응, 종교적 대처, 스트레스, 정신건강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군 생활 적응 척도 전체는 종교적 대처 척도 전체 및 하위요인 모두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종교(불교, 천주교, 기독교, 무교)에 따른 군인의 군 생활 적응, 종교적 대처, 스트레스, 정신건강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종교에 따른 군인의 군 생활 적응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군 생활 적응 척도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종교에 따른 군인의 종교적 대처의 차이를 살펴본 분석에서는 자기 주도적 대처, 협력적 대처, 의존적 대처, 종교적 대처 척도 전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 주도적 대처의 경우 불교가 가장 높고, 협력적 대처와 의존적 대처는 천주교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군인들의 군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중재 방향으로써 종교적인 대처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mental health, religious coping, and adaptation to military life in Buddhist, Catholic, Christian, and non-religious group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above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soldiers‘ adaptation to military life, religious coping, stress, and mental health?,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oldiers' adaptation to military life, coping, stress, and mental health?, Third, what are the differences in military adaptation, religious coping, stress, and mental health of soldiers according to religion (Buddhism, Catholicism, Christianity, and no religion)?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ilitary adaptation, religious coping, stress, and mental health of soldiers were examined.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ldiers' adaptation to military life, religious coping, stress, and mental health, the overall military life adaptation scal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the religious coping scale and all sub-factors. Third, differences in military adaptation, religious coping, stress, and mental health of soldiers according to religion (Buddhism, Catholicism, Christianity, and no religion)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military adaptation of soldiers according to relig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 overall military life adaptation scale and sub-factor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religious coping of soldiers according to relig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measures of self-directed coping, cooperative coping, dependent coping, and religious coping. In the case of self-directed coping, Buddhism showed the highest, and for cooperative and dependent coping, Catholicism showed the highe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preparing religious coping measures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direction to improve military adaptation of soldier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수(도운). (2022).군 정신건강 연구: 종교적 대처를 중심으로.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 87-104

MLA

김진수(도운). "군 정신건강 연구: 종교적 대처를 중심으로."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2022): 87-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