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비중심치료의 이론과 실제
이용수 83
- 영문명
- A Theory and Practice of Compassion Focused Therapy
- 발행기관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박성현
- 간행물 정보
-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28권, 11~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국의 심리학자 Paul Gilbert가 개발한 자비중심치료는 수치심과 자기비난 경향이 높은 만성적인 정서 장애를 가진 내담자들을 위한 치료 프로그램이다. 자비중심치료는 구뇌와 진화된 신뇌의 상호작용, 세 가지 유형을 포함하는 정서조절 모델, 뇌와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돌봄 환경에 대한 이해를 통해 정서 문제가 유지, 악화되는 메카니즘을 설명한다. 자비중심치료에서는 내담자가 진화된 마음과 양육 환경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도록 도움으로써 자신의 정서 문제를 병리적으로 보거나 자신의 잘못으로 귀인하지 않도록 돕는다. 자비로운 마음훈련은 이완 연습, 마음챙김과 자비 심상화 훈련을 통해 내담자가 내외로부터의 부정적인 경험을 반추, 걱정, 자기비난하는 방식이 아니라 자비로운 주의로 재초점화하도록 돕는다. 자비로운 마음 훈련의 원리와 몇 가지 사례를 제시했으며 자비 명상의 심리치료적 함의에 관해 간략히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Compassion Focused Therapy(CFT) is a therapeutic program developed by Paul Gilbert, an english psychologist which is for people who have chronic emotional disorders with high shame and self-criticism. CFT conceptualizes a mechanism of emotional problems through understandings on the interaction of the old and new brains, an affect regulation model with three types and caring environments that influence brains and affect regulation systems. CFT helps client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evolved mind and caring environments for emotional development and not to attribute their own emotional problems to their own mistakes and not to see them pathologically. Compassionate Mind Training (CMT) includes a relaxation, mindfulness and compassion imagination practices. It helps clients to refocus compassionate attention to negative experiences from in and ex instead of rumination, worry or self-criticism. This article presented some fundamental principles and examples of CMT and discussed on the therapeutic implications of compassion meditation.
목차
Ⅰ. 자비에 대한 서구 심리학 연구 개관 : 자비의 정의와 효과
Ⅱ. 자비중심치료의 핵심 이론
Ⅲ. 자비중심치료의 실제 : 자비중심치료의 치료 과정과 자비로운 마음 훈련
Ⅳ.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기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 알아차림, 학교적응 유연성에 관한 연구
- 자비중심치료의 이론과 실제
- 20대 템플스테이 참여에 대한 연구: 심리적 안녕감, 마음챙김, 자기자비를 중심으로
- 불교상담자의 자세: 사홍서원을 중심으로
- 명상상담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친 영향: 단일사례연구
- 요가치료 프로그램이 중년 남녀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 초기불교 수행의 주요기제 연구 - ‘빠자나띠(pajānāti)’를 중심으로 -
- 요가치료와 마음챙김 요가: 국내 요가치료 발전 방향 연구
- 군 정신건강 연구: 종교적 대처를 중심으로
- 노인 자원봉사 참여 청소년의 효인식과 봉사만족도가 부양인식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