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난한 연극치료(poor drama therapy)를 향하여
이용수 108
- 영문명
- Towards Poor Drama Therapy: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or Theater and Developmental Transformations Model
- 발행기관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연극예술치료연구』제16호, 142~167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그로토프스키가 끈질기게 추구한 가난한 연극의 핵심 사항 중 하나는 타인을 통해 고독을 극복하고 자신을 성찰하는 것이다. 연극치료와 관련하여 그로토프스키 연극론의 특징은 드러냄(revelation), 만남(encounter), 치료(therapy)의 미학이다. 심리치료에서도 드러냄이 치료의 통로라는 점에서 연극적 방식을 통한 그로토프스키의 드러냄은 연극치료와 직결된다. 장애물이 제거된 상태에서 자기를 드러낸다면 진정한 만남이 가능할 것이다. 드러냄에 이은 만남은 배우와 관객의 소통이자 나누기이며, 인습의 굴레에서 벗어난 자유롭고 순수한 영혼의 상태로 거듭난 것이 된다. 거듭난 자는 다시 말해 치료된 자가 될 것이다. 이렇듯 그로토프스키가 찾고자 했던 연극의 본질은 치료의 의도를 가지고 드라마에 참여하고 드라마 과정을 통해 변화를 촉진하여, 참여자가 겪고 있는 문제를 표현하고 해결하도록 하거나 그의 안녕과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는 연극치료와 만난다. 이는 치료사와 참여자의 만남에서 고독에서 벗어날 수 있고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다는 존슨의 연극치료 발달변형모델과 정확히 부합한다. 존슨은 그로토프스키 연극이 지닌 치료의 성격을 간파하고 자신이 개발한 연극치료모델인 발달변형모델을 ‘가난한 연극치료’(poor drama therapy)라고 칭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의 질문에 답해보고자 한다. 첫째, 그로토프스키의 연극이 어떤 점에서 연극치료의 성격을 지니는가? 둘째, DvT는 어떤 점에서 가난한 연극치료라고 할 수 있는가?
영문 초록
One of the key points of the poor theater that Grotowski persistently pursued is to overcome solitude through others and reflect on himself. In relation to drama therapy, the characteristics of Grotowski's theatrical theory are the aesthetics of revelation, encounter, and therapy. In that revelation is also a channel for treatment in psychological therapy, Grotowski's revelation through theatrical methods is directly related to drama therapy. If obstacles are removed and one reveals oneself, a real meeting will be possible. The encounter following the revelation is communication and sharing between the actor and the audience, and it becomes a free and pure state of soul that is free from the bondage of convention. Those who are reborn will, in other words, be the one who was healed. As such, the essence of the theater Grotowski wanted to find is to participate in the drama with the intention of treatment and promote change through the drama process, expressing and solving the problem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or maintaining the well-being and health of the participants. This is exactly in line with Johnson's developmental transformations model, which suggests that participants can escape solitude and discover themselves in meetings with therapists. Johnson recognizes the nature of the treatment of Grotowski's theater and calls the developmental transformations model, a poor drama therap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in what way does Grotowski's play have the character of drama therapy? Second, in what way can DvT be said to be poor theater therap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DvT에서 만남의 의미
Ⅲ. DvT에서 신체의 의미
Ⅳ. DvT에서 부정법(via negativa)의 의미
Ⅴ. DvT에서 연극놀이(play)의 의미
Ⅵ.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메리 세트라키안Mary Setrakian의 SING, FIND YOUR TRUE VOICE에서 제시하고 있는 ‘호흡법’에 관한 고찰 -연극치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 『잘자요, 엄마』의 장르 특성에 따른 크로노토프 형성 과정 연구
- A.R. Gurney의 <러브레터> 연구 -자크 라깡의 정신분석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