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도인지장애, 치매환자의 음악치료 진단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이용수  251

영문명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usic-Based Examination of Mental State (MBEMS) Tools for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발행기관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저자명
주지은 정영희 이소영
간행물 정보
『연극예술치료연구』제16호, 65~8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치료 진단평가 도구(Music-Based Examination of Mental State: MBEMS)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2021년 9월 24일부터 2022년 2월 7일까지 49명의 경도인지장애, 치매환자에게 MBEMS 검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MBEMS와 K-MMSE-2간의 Pearson의 상관계수는 .62, BAI는 -.58로 중간 수준의 공존타당도를 보였다. K-MMSE-2와 CDR 범주에 따른 MBEMS의 점수 분포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MBEMS의 문항 신뢰도에 있어서는 Cronbach's a 계수가 .83으로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다. 이는 경도인지장애, 치매환자를 위한 음악치료 진단평가 도구로 MBEMS가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reliminary study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Music-Based Examination of Mental State (MBEMS) tool for use o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MBEMS tests were conducted on 49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from September 24, 2021 to February 7, 2022.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MBEMS and K-MMSE-2 was .62 and was -.58, suggesting moderate concurrent validity. The score distribution of MBEMS base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ronbach's a coefficient was .83 for the reliability of MBEMS, signifying a high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BEMS may be applicable for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i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지은,정영희,이소영. (2022).경도인지장애, 치매환자의 음악치료 진단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연극예술치료연구, (), 65-87

MLA

주지은,정영희,이소영. "경도인지장애, 치매환자의 음악치료 진단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연극예술치료연구, (2022): 65-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