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메리 세트라키안Mary Setrakian의 SING, FIND YOUR TRUE VOICE에서 제시하고 있는 ‘호흡법’에 관한 고찰 -연극치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Breathing’ in Mary Setrakian's SING, FIND YOUR TRUE VOICE -Potential Application in Drama Therapy-
- 발행기관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 저자명
- 이계창
- 간행물 정보
- 『연극예술치료연구』제22호, 59~100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메리 세트라키안의 저서 SING, FIND YOUR TRUE VOICE의 '호흡'을 중심으로, 호흡이 감정에 미치는 영향과 호흡 훈련이 연극치료에 적용될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극치료는 몸과 마음의 통합적 치유를 지향하며, 호흡은 신체와 정서의 중요한 연결고리이다.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 호흡이 생리학적, 뇌과학적, 형이상학적으로 정서와 깊이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뇌간의 호흡주기중추와 감정 중추인 편도체를 포함하고 있는 변연계의 상호작용이 호흡에 영향을 미치며, 호흡 조절이 자율신경계를 통해 심리적 안정에 기여함을 과학적 근거로 제시하였다. 또한 요가, 명상 등 전통적인 수련 방법론에서 호흡 자각을 통한 심신 통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세트라키안은 ‘진실된 소리’가 감정과 연결된 호흡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하며, 의식적 긴장을 배제한 ‘경제적인 호흡’과 ‘조용한 호흡’을 제시한다. 그녀는 얕은 ‘패닉 호흡’ 대신 횡격막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활용하는 ‘횡격막 호흡’이 감정 연결을 회복시킨다고 설명한다. 본 연구는 특히 세트라키안의 ‘그냥 내버려둬라’, ‘노력하지 마라’, ‘그냥 느껴라’와 같은 비지시적 언어에 주목하였다. 이는 연극치료 참여자에게 자율적이고 편안한 신체 및 감정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찰 결과, 호흡은 감정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세트라키안의 횡격막 호흡 기반 ‘경제적인 호흡’과 ‘조용한 호흡’은 심리적 안정과 감정 접근 가능성을 지닌다. 그녀의 비지시적 호흡 훈련 방식은 자기 검열 없이 있는 그대로를 자각하게 하여, 연극치료 참여자가 안전하게 내면을 탐색하고 치유로 나아가는 효과적인 시작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fluence of breath on emotion and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breath training to drama therapy, primarily focusing on the ‘the Breathing’ section in Mary Setrakian's book, SING, FIND YOUR TRUE VOICE. Drama therapy seeks integrated healing of body and mind, and breath serves as a crucial link between physical and emotional state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study confirmed that breath is deeply intertwined with emotion from physiological, neuroscientific, and metaphysical perspectives. Specifically, it presented scientific evidence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brainstem's respiratory rhythmicity center and the limbic system, including the amygdala(the center of emotion)), influences respiration. Conversely, breath regulation was shown to contribute to psychological stability via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The study also examined the potential for mind-body integration through breath awareness, as explored in traditional contemplative methodologies like yoga and meditation.
Setrakian argues that a “true voice” originates from breath connected to emotion, proposing “Economical Breath” and “Silent Breath” that exclude conscious tension. She explains that diaphragmatic breathing, which utilizes the natural movement of the diaphragm, restores this emotional connection, in contrast to shallow “Panic Breath” caused by tension or avoidance. This study particularly focused on Setrakian's non-directive language used in breath training, such as “Just let it be.” “Don't try.” and “Just feel.” This approach can facilitate more autonomous and comfortable physical and emotional access for drama therapy participants.
The review's findings indicate that breath is closely linked to emotion, and Setrakian's diaphragmatic-based “Economical Breath” and “Silent Breath” possess the potential fo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emotional access. Her non-directive breath training method, by guiding participants to be aware of their body and emotions as they are, without external judgment or self-monitoring, suggests it can be an effective starting point for drama therapy participants to safely explore their inner world, express emotions, and move towards healing.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내용 및 범위
II. 호흡에 대한 이해
1. 생리학적 접근
2. 뇌과학적 접근
3. 형이상학적 접근
Ⅲ. 메리 세트라키안의 SING, FIND YOUR TRUE VOICE에
나타난 호흡법 고찰
1. 올바른 발성을 위한 호흡법
2. 메리 세트라키안의 가창 방법론에 나타난 ‘호흡과 감정의
연결’에 관한 고찰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메리 세트라키안Mary Setrakian의 SING, FIND YOUR TRUE VOICE에서 제시하고 있는 ‘호흡법’에 관한 고찰 -연극치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 『잘자요, 엄마』의 장르 특성에 따른 크로노토프 형성 과정 연구
- A.R. Gurney의 <러브레터> 연구 -자크 라깡의 정신분석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