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 관련 테크놀로지 활용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및 프로그램 특성 고찰

이용수  396

영문명
A Review on the Domestic Studies about the Use of Technology and Program Characteristic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Under-achievement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5권 제2호, 75~10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 교육에서 테크놀로지 활용과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연구 동향, 활용 프로그램의 특성, 중재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10년간(2012~2021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33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국내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 대상의 테크놀로지 활용교육은 꾸준히 진행되고 있지만, 양적 측면에서 제한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실험연구와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프로그램을 보면, 모바일러닝과 지능적 첨단학습이 가장 많았으며, 교육내용은 학습태도, 읽기 이해, 철자 쓰기 등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교수·학습 방법은 명시적 교수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셋째, 종속변인은 학습태도 및 동기와 읽기, 수학에 관한 것이 많았다. 논의에서는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교육에 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characteristics of programs, and intervention effects by analyzing previous domestic studies related to the use of technology i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total of 33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over the past 10 years(2012-2021)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key results, first, technology related studie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progressing steadily, but it was found to be limited in terms of quantity. Experimental research and program development research were the most frequent. Second, looking at the programs, mobile learning and intelligent cutting-edge learning were the most common, and learning attitude, reading comprehension, and spelling were relatively common in educational content. For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ratio of explicit teaching was the highest. Third, in terms of effectivenes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learning attitude and motivation as dependent variables, and most of them have positive effects. In the discussion, implications for technology applica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분석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국내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 관련 테크놀로지 활용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및 프로그램 특성 고찰.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5 (2), 75-101

MLA

. "국내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 관련 테크놀로지 활용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및 프로그램 특성 고찰."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5.2(2022): 75-1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