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리터러시 중재가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블로그 포스팅 기술 및 디지털 글쓰기 기술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26
- 영문명
- The Effect of Digital Literacy Intervention on Blog Posting Skills and Digital Writing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5권 제2호, 47~7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중재가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블로그 포스팅 기술 및 디지털 글쓰기 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발달장애 초등학생 3명을 대상으로 대상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중재를 실시하였다. 디지털 리터러시 중재는 블로그 포스팅 중재와 디지털 글쓰기 중재로 구성하였다. 먼저, 블로그 포스팅 중재의 경우 시각적 지원, 모델링, 체계적 교수(systematic instruction)로 이어지는 과정을 통해 교수하였으며 디지털 글쓰기 중재의 경우 쓰기 워크숍 형태를 활용하여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3명의 참여 학생 모두 블로그 포스팅 기술 수행률과 디지털 글쓰기 기술 수행 수준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이루어지는 소통과 글쓰기에 발달장애 학생들의 동참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또래들이 경험하는 문화를 장애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도록 한 점, SNS 활용 기술 및 디지털 글쓰기 기술을 발달장애 학생들에게 교수하는 방법을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how digital literacy intervention affects blog posting skills and digital writing skil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tudy design conducted digital literacy intervention by applying a multiple probe design between subjects for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gital literacy intervention consisted of blog posting intervention and digital writing intervention. In the case of blog posting intervention, it was provided through visual support, modeling, and systematic instruction using guides, and in the case of digital writing, intervention was modifi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study using the form of a writing workshop. In terms of blog posting skills, data collection was measured using the event recording method by recording the blog posting process of participating children in each ses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all three participating students increased the performance rate of blog posting skills and the level of digital writing skills, which was maint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was termina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communication and writing in the digital age, and proved how to teach students with social media use and digital writing skills.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관련 법률 지식 및 현장 적용 수준이 장애학생 지원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시각장애학생의 점자 읽기 발달 및 뇌의 가소성에 대한 문헌 고찰
- 국내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 관련 테크놀로지 활용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및 프로그램 특성 고찰
- 장애학생을 위한 교과관련 메타버스 기반 중재연구 분석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성취기준 분석
- 장애학생 교과교육에 대한 수업실연 과정이 예비특수교사의 좋은 수업에 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리터러시 중재가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블로그 포스팅 기술 및 디지털 글쓰기 기술에 미치는 영향
- 질적 지표를 활용한 국내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학생 대상 어휘 중재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