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성취기준 분석

이용수  231

영문명
An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ocial Studies in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5권 제2호, 1~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활용하여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성취기준을 분석함으로써 교육목표로 강조하고 있는 지식과 인지과정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에서 명사와 동사를 중심으로 사회과 전체 학교급 총 64개의 성취기준을 차원별 단일 분석 및 이차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식 차원에서는 ‘개념적 지식’의 비중이 모든 학교급에서 가장 높았고, 학교급이 올라가면서 ‘사실적 지식’의 비중은 감소하였다. 둘째,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모든 학교급에서 ‘이해하기’와 ‘적용하기’에 편중되어 있었고, 인지과정을 나타내는 서술 동사의 사용이 제한적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지식 및 인지과정의 이차원적 분석에서는 개념적 지식의 이해하기, 절차적 지식의 적용하기, 사실적 지식의 이해하기 연결 비중이 높게 나타났고, 전체적으로 상호 결합의 비중이 고르지 않았다. 지식 및 인지과정 차원에서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성취기준의 특징과 개선을 위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emphasized as educational goals by analyzing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social studies achievement standards in term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goals. In term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a single analysis and two-dimensional analysis were performed for a total of 64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ntire school level in social studies, focusing on nouns and verbs. First, in terms of knowledge, the proportion of ‘conceptual knowledge’ was the highest in all school levels, and the proportion of ‘factual knowledge’ decreased as the school level increased. Seco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was biased on 'understanding' and 'applying' at all school levels, and the use of verbs representing cognitive processes was limited. Third, in the two-dimensional analysi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the proportion of ‘understanding conceptual knowledge’, ‘application of procedur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factual knowledge’ was high, and overall the proportion of mutual linking was uneven. In term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social studies achievement standards,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and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성취기준 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5 (2), 1-21

MLA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성취기준 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5.2(2022): 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