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학생 교과교육에 대한 수업실연 과정이 예비특수교사의 좋은 수업에 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7
- 영문명
- The Effects of Simulated Instruction Activity of Subject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Good Instruction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5권 제2호, 23~4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학생 교과교육에 대한 수업실연 과정이 예비특수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특수교육 전공 예비특수교사 중 장애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수업실연 강좌에 참여한 42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문항은 좋은 수업의 4개 주요 영역과 24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영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5점 척도로 사전 사후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특수교사들은 사전 사후 검사 결과 모두 좋은 수업의 요소들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인식하고 있었던 것에 비해 낮은 실행도를 나타내었으며, 중요도-실행도 분석 결과, 교육 방법은 우선적으로 개선 노력을 집중해야 할 영역, 교육 환경은 좋은 성과를 나타내어 유지해야 할 영역, 교육 내용과 평가는 우선순위를 낮게 두어야 할 영역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학생 교과교육을 위한 수업실연 과정은 예비특수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analyze effects of simulated instruction activity on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major factors that constitute good instruction of pre-service prim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ttempted to find ways to improve pre-service prim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to 42 pre-service prim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main areas of good instruction. And major factors for each area, a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ach factor were answered on a 5-point scale. A inventory had been administrated to the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ir simulated instruction activity. The conclusion of present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simulated instruction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good instruction. Second, the importance-performance of good instruc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educational methods to be concentrated for the improvement, educational environments to be kept up because of their good work, educational contents and educational assessments to have low priority.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관련 법률 지식 및 현장 적용 수준이 장애학생 지원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시각장애학생의 점자 읽기 발달 및 뇌의 가소성에 대한 문헌 고찰
- 국내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 학생 관련 테크놀로지 활용교육 연구 동향 분석 및 프로그램 특성 고찰
- 장애학생을 위한 교과관련 메타버스 기반 중재연구 분석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 성취기준 분석
- 장애학생 교과교육에 대한 수업실연 과정이 예비특수교사의 좋은 수업에 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리터러시 중재가 발달장애 초등학생의 블로그 포스팅 기술 및 디지털 글쓰기 기술에 미치는 영향
- 질적 지표를 활용한 국내 학습장애 및 학습부진학생 대상 어휘 중재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