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게임 놀이프로그램이 주의력 결핍 아동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7
- 영문명
- Influence of game play program upon attentio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5권 제1호, 57~7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게임 놀이프로그램이 주의력 결핍 아동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보육교사가 주의력이 부족하다고 의뢰한 아동 중에서 DSM-Ⅳ의 부주의 영역에서 6개 이상 항목에 해당하고 교사용 코너스 평정 척도에서 상위에 속하는 초등학교 2년생 2명이다. 본 프로그램은 게임을 통해 동기를 촉진시키고, 놀이의 치료적 요인 중 자기통제 기술 향상, 긍정적 성공경험 등에 중점을 두고 선택적, 지속적 주의력을 증진시키도록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임 놀이프로그램은 FAIR 주의집중력 검사에서 선택적, 지속적 주의 점수를 증가 시켰고, 선택적, 지속적 주의 표적 행동(주요․지시 표적 주목하기, 교사 바라보기, 주의 열중하기)을 모두 증가 시켰다. 둘째, 게임 놀이프로그램은 아동의 주의력 결핍 행동 검사 점수를 감소시켰으며, 전체적 주의 관찰 항목(자리이탈 하지 않기, 시선 고정하기, 활동과 관계되는 이야기하기, 연구자의 지시를 따르기)의 빈도를 증가 시켰다. 따라서 게임 놀이프로그램이 주의력 결핍 아동의 주의력을 향상 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aim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game play program upon attentio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the research subjects are 2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2nd grade who correspond to over 6 items in the inattention sphere of DSM-Ⅳ and who belong to the high rank in CTRS(Conners Teacher Rating Scale), among children commissioned by a child care teacher due to being lacking in attention. the research problems include, first, is game play program effective for enhancing selective attention? second, is game play program effective for enhancing sustained attention? and third, is game play program effective for enhancing the whole attention? the enhancement in selective and sustained attention was compared by carrying out pre-post FAIR attention test. the selective & sustained attention target behavior was observed in a teaching situation after school. The whole attention was performed the pre-post attention deficit behavior test(KISE) by a chid care teacher, and was observed in session. accordingly, this study has limitation in generalizing owing to be a minor-case study. However, the game play program can be known to be effective for enhancing attentio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ord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기탐색을 위한 모래상자놀이가 대학원생의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모·자의 심리적응 및 모-자녀관계 관련 연구
- 게임 놀이프로그램이 주의력 결핍 아동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모래놀이치료 상징물 사용
- 시설입소 피학대아동에게 시행된 대상관계이론 기반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사회기술 향상 효과
-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청소년의 정서, 자아 강도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말(馬)의 심리치료적 요인 척도 개발
-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공격성 및 아동의 공격성과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