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공격성 및 아동의 공격성과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
이용수 11
- 영문명
- The effect of peer relationships on the parental verbal aggression and children's aggression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5권 제1호, 17~2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4.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공격성, 아동의 공격성 및 또래관계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및 전남 지역에 소재한 4개 초등학교 5 · 6 학년 남녀 아동 49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공격성 및 아동의 공격성과 또래관계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모의 언어적 공격성 및 아동의 공격성은 또래관계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언어적 공격성이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의 언어적 공격성은 아동의 긍정적 요인 및 부정적 요인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의 언어적 공격성은 또래관계의 부정적인 요인에서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공격성은 또래관계의 긍정적인 요인에 대해서는 부적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인 요인에 대해서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whose subjects are only limit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vestigates the patterns of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al verbal aggression, children's aggression, and peer relationships, and examines the relative influence The subjects are 490 5th to 6th graders from 4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and Chonnam Province. SPSS 12.0 is use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data.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 1. It is seen that among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al verbal aggression, children's aggression, and peer relationships, there exists a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pect to positive factors, and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pect to negative factors. 2. It is observed that as the father's verbal aggression is more severe, the more negative effect is imposed on the child's positive factors, emotional and social support, conflict resolution, and satisfaction with his/her peer relationships whereas the more positive effect is exerted upon the child's negative factors, 3. It is seen that the higher the children's aggression, the more negative effect is imposed on the child's conflict resolution and his/her satisfaction with peer relationships and the more positive effect is exerted upon conflict and opposition, one-sided leading, retraction, isolation, and his/her dissatisfaction with peer relationships. All things considered, it can be concluded that verbal aggression that parents frequently use as a method of control to remedy children's problem behaviors rather leads children not to be able to adjust themselves to their school life and thus leaves them with a lifelong psychological trauma. In particular,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father's verbal aggression is exerted upon the child's peer relationships to a greater extent. This thesis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is full of suggestions about how to discipline children and provides numerous empirical data by exploring the influence of parental verbal aggression and children's aggression on peer relationship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기탐색을 위한 모래상자놀이가 대학원생의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모·자의 심리적응 및 모-자녀관계 관련 연구
- 게임 놀이프로그램이 주의력 결핍 아동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모래놀이치료 상징물 사용
- 시설입소 피학대아동에게 시행된 대상관계이론 기반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사회기술 향상 효과
-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청소년의 정서, 자아 강도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말(馬)의 심리치료적 요인 척도 개발
-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공격성 및 아동의 공격성과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