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모래놀이치료 상징물 사용
이용수 25
- 영문명
- Children's use of symbols by age and gender in sand play pictures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5권 제1호, 29~4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4.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모래놀이치료과정에서 모래상자에 나타난 상징물에 대해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아동들이 사용하는 상징물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나아가 아동의 연령 및 성별에 따라서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모래놀이치료에 참여한 만 4세∼12세 아동 139명(총2571개의 모래상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모래놀이치료과정 동안 상담자가 작성한 어록과 모래상자사진을 참고로 하여 각 모래상자에서 사용한 상징물을 김유숙과 야마나카야스히로(2005)가 분류한 상징물 12종류를 적용해 SPSS 12.0 Wi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빈도 분석한 상징물들 중 연구대상 모래상자에서 사용된 상징물의 사용빈도에서 50% 상회하는 상징물을 중심으로 세분화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아동들이 선호하는 상징물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동들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남아는 유아기에 사용하던 상징물이 아동기로 넘어오면서 줄어들고, 여아는 유아기에서 아동기로 넘어오면서 유아기에 사용하던 상징물을 포함해서 상징물 사용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남아의 경우에는 역동적이며 외향적인 남성적인 속성을 암시하는 상징물을 많이 사용하는데 비해 여아의 경우에는 감정표현에 있어서 정서적 민감성과 여성적인 속성을 암시하는 상징물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not only to find out prevalent symbolical figures chosen by children of various age brackets and also of gender as implied from the prevalent symbols used.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data gathered from 2571 sandplay pictures of 139 children of age between 4~12. The data involve dialogues of each sessions and slides prepared by the therapist. Frequency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Win 12.0 as to which kind of symbols were prevalently used by each age and gender brackets by applying Kim Yoo Suk & Yamanakayashiro(2005) 12 symbols classification system. Usage frequency of more than 50% of each age and gender brackets was regard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ings. As for boys the number of symbols used decreases as they move from early to late childhood, while that of girls increases accumulatively. Typical symbols of boys were comparatively dynamic and extroverted, show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les. It was also found out that girls are using more of symbols implying emotional sensitiveness in expressing feelings and of generally feminine characteristic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기탐색을 위한 모래상자놀이가 대학원생의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모·자의 심리적응 및 모-자녀관계 관련 연구
- 게임 놀이프로그램이 주의력 결핍 아동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모래놀이치료 상징물 사용
- 시설입소 피학대아동에게 시행된 대상관계이론 기반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사회기술 향상 효과
-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청소년의 정서, 자아 강도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말(馬)의 심리치료적 요인 척도 개발
-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공격성 및 아동의 공격성과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