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탐색을 위한 모래상자놀이가 대학원생의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
- 영문명
- The effect of sand tray for self-exploring on self-concept of graduat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5권 제1호, 93~10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4.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기탐색을 위한 모래상자놀이가 대학원생의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소수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대구시 D대학교 대학원생 30명에게 자기개념 검사를 실시하고 총점이 300점 이하이면서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 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기탐색을 위한 모래상자놀이는 주 1회, 80분, 총 9회기로 실시되었으며 1회기 소개하기와 9회기 마무리하기를 제외한 2~8회기에는 주제가 제시되는 지시적 모래상자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자기개념검사 점수를 사전, 사후 비교하였으며, 각 회기에서 표현한 모래상자 작품 및 작품을 만든 후에 작성한 경험보고서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탐색을 위한 모래상자놀이는 연구대상자의 자기개념 점수를 증가시켰다. 둘째, 모래상자놀이에서 제시되는 주제에 따라 대상자들은 작품에서 자신의 경험, 생각, 감정을 표현하였으며 점차 자신을 탐색하고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and tray for self-exploring on graduate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ree graduate students from Daegu university who belong to the lower score than three hundred scores in self-concept test. Sand tray for self-exploring was implemented once a week for 9 times, and 1 session was 80 minutes. Each session excluding the first session-orientation and the last session-closing had a theme that is essential part of life. To see the effect of sand tray for self-exploring, first, the subjects' pre and post self-concept scores were compared and sand tray work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sand tray for self-exploring improved self-concept. Second, each subject expressed their experiences, thoughts, feelings and they explored themselves through sand tray for self-explor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기탐색을 위한 모래상자놀이가 대학원생의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모·자의 심리적응 및 모-자녀관계 관련 연구
- 게임 놀이프로그램이 주의력 결핍 아동의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모래놀이치료 상징물 사용
- 시설입소 피학대아동에게 시행된 대상관계이론 기반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사회기술 향상 효과
-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청소년의 정서, 자아 강도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말(馬)의 심리치료적 요인 척도 개발
-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적 공격성 및 아동의 공격성과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