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민감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용수 284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rent’s Sensitivity Scale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지윤(Choi, Ji Yun) 김은실(Kim, Uen Sil)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19권 제1호, 55~8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6세에서 11세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민감성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한 연구이다. 연구절차는 ‘예비문항 도출’, ‘예비 조사’, ‘본 조사’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예비문항은 설문 조사와 선행연구를 통해 총 97문항을 추출하였으며, 전문가 내용타당도 과정을 거쳐 예비문항 63개로 조정되었다. 이어서 예비 조사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타당도 검증, 집중타당성과 판별 타당성 검증을 통해 1차 문항을 선정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모형 적합도를 검증하고, 구인타당도와 공인타당도 검증과정을 통해 최종 26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최종 문항은 세 가지 요인과 7개의 하위요인의 2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신속하게 인식하기’ 요인은 ‘행동변화 인식’(7문항), ‘감정 및 욕구 인식’(3문항)이었고, ‘정확하게 이해하기’ 요인은 한가지의 하위요인인 ‘감정 이해’(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적절하게 반응하기’ 요인은 ‘민주적 태도’(3문항), ‘수용적 태도’(4문항), ‘자율성 존중’(4문항), ‘한계설정’(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parent’s sensitivity scale of children aged 6 to 11 years old. The research procedure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derivation of preliminary questions’, ‘preliminary survey’ and ‘main survey’. A total of 97 questions were extracted through surveys and prior research, and the preliminary questions were adjusted to 63 preliminary questions through the expert content validity process. For the preliminary study, the primary items were selec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alidity verification, and focused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verification. In this study, model fit was verifi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final 26 items were composed through construct validity and an official validity verification process. The final item consisted of 26 items of 3 factors and 7 sub-factors. The quick awareness factor was behavioral change awareness (7 questions) and emotion and desire awareness (3 questions), and the understanding correctly factor was composed of one sub-factor: understanding emotions (3 questions). The response appropriately factor consisted of democratic attitude (3 questions), acceptive attitude (4 questions), respect for autonomy (4 questions), and limit setting (2 ques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부모 대상 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연구
- 아버지-자녀관계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부모의 상호작용 교육을 위한 자기 이해 도구개발 및 활용방안
- 아버지의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및 전문성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Q 방법론을 활용한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어려움에 대한 인식연구
- 유아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WISE-CANDY 코칭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부모민감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