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55
- 영문명
-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Ego Resili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The Recognition of strengths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김산옥(Kim, San-ok) 도미향(Do, Mi-Hyang)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19권 제1호, 107~12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 보고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서 강점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생 300명이며, 연구방법은 대학생의 강점인식, 자아탄력성,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한 자료로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강점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강점인식의 매개효과 검증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과 강점인식,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세 변인 간의 정상적인 범위로 경향성을 충족시켰다. 둘째, 진로준비행동, 자아탄력성, 강점인식 주요변인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자아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감정인식이 부분 매개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을 하는데 강점을 인식하는 것은 대학생들의 진로와 취업에 대한 확신을 주는 변인으로 대학생들에게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college students ego resilience affects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ge students self-resilience i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0 four-year university college students, and the research method was data that measured college students strength perception, self-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trength recogn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go resilience, strength percep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tendency was satisfied within the norma l range among the three variable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major variabl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resilience, and strength perception. Third, emotional recogni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recognizing the strength of college students self-resilience i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ll contribute to college students as a variable that gives them confidence in their career path and employ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부모 대상 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연구
- 아버지-자녀관계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부모의 상호작용 교육을 위한 자기 이해 도구개발 및 활용방안
- 아버지의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및 전문성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Q 방법론을 활용한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어려움에 대한 인식연구
- 유아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WISE-CANDY 코칭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부모민감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
- 상관의 개발리더십과 육군 ROTC 단기복무 전역장교의 경력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 프로티언 및 무경계 경력태도에 기초한 경력개발 유형 탐색: 유형별 정서적 조직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