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및 전문성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20
- 영문명
- The Effects of Play Beliefs and Teacher Professionalism on Play Teaching Efficacy - The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조경희(Cho, Kyoung-Hee) 변미옥(Byoun, Mi-Ok) 이종임(Lee, Jong im)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19권 제1호, 85~10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놀이신념과 전문성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의 매개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 P시와 충남 S시에 근무하는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해 설문자료는 235부가 수집되었으며 SPSS 26.0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 영향,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놀이신념 및 전문성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놀이신념, 전문성, 직무만족 및 놀이교수효능감의 모두 평균이 중간이상의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놀이신념, 전문성, 직무만족, 놀이교수효능감의 변인들은 변인 간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놀이신념과 전문성이 유아의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에서 놀이신념과 전문성 모두 놀이교수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직무만족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놀이신념, 전문성, 직무만족은 놀이교수효능감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직무만족이 매개되었을 때, 놀이교수효능감의 향상됨을 검증하였다. 이에 놀이신념과 전문성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도록 할 때 직무만족를 높일 수 있고 직무만족은 결과적으로 놀이교수효능감을 높이게 됨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in the effect of play beliefs and teacher professionalism on play teaching efficacy.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P-si and S-si, Chungcheongnam-do. For this study, 235 copies of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and SPSS 26.0 was us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the mean,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impact, and mediating effect of the study variables. A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effect of play beliefs and professionalism on play teaching efficacy,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play beliefs, professionalism, job satisfac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all showed a high level above the middle. Second, the variables of play belief, professionalism, job satisfac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Third, in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effect of play beliefs and professionalism on play teaching efficacy, both play beliefs and expertise had a direct effect on the efficacy of play teaching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job satisfaction. Fourth, play beliefs,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efficacy of play teaching, especially when job satisfaction is mediated.
Accordingly, the study suggests that job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when effectively demonstrating play beliefs and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consequently increases play teaching efficac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부모 대상 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연구
- 아버지-자녀관계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부모의 상호작용 교육을 위한 자기 이해 도구개발 및 활용방안
- 아버지의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및 전문성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Q 방법론을 활용한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어려움에 대한 인식연구
- 유아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WISE-CANDY 코칭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부모민감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