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부모 대상 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연구
이용수 412
- 영문명
- The Implications of School Career Education for Parents - School Management Committee Members of Public High schools in P area of Gyeonggi-do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김용기(Kim, Yong Ki)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19권 제1호, 163~18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기도 P지역 학교의 학부모 대상 진로교육에 대해 알아보고, 연구결과를 P지역에 제공하여, P지역에 현재 보다 나은 진로교육을 설계하는데 목적이 있다. 경기도 P지역을 연구주제로 삼은 이유는, 현재까지 고교입시 비평준화지역이고, 학부모에 대한 진로·진학에 대한 욕구가 높기 때문이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P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10개교, 학부모위원 1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심층면접을 3회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진로교육은 국가평생교육원, 공공기관-사설기관, 지방자치단체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고, 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참여율은 20% 전후지만, 교육효과율 및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 진로교육 참여 확대를 위하여 온·오프라인 병행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학교홈페이지를 통하여 학부모에게 다양한 정보제공 모색도 필요하다. 셋째, 진로교육을 일회성이 아닌 수준별, 학교급별, 지역특색별로 다양성과 지속성으로 이루어져야하며, 진로교사의 역할도 확대되어야 한
영문 초록
This study is intended to research career education for parents in P area of Gyeonggi-do and to provide the results for designing better career education. There was a total of three in-depth interviews per 10 parent committee members of 10 public high schools located in P area of Gyeonggi-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career education is offered mostly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Lifelong Education,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and local governments. The ratio of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career education is around 20%, but the efficiency and satisfaction level are high. Second, there should be both online and offline education to expand parents’ participation, and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o parents via the school website. Third, career education should be offered consistently and diversely by education levels, school levels, and regional features rather than a one-time event, along with the expansion of career teachers’ rol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부모 대상 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연구
- 아버지-자녀관계가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 부모의 상호작용 교육을 위한 자기 이해 도구개발 및 활용방안
- 아버지의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놀이신념 및 전문성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Q 방법론을 활용한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어려움에 대한 인식연구
- 유아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WISE-CANDY 코칭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부모민감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