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AI 교육 시대 성공적 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포스트휴먼 질적연구

이용수  0

영문명
Posthuman Qualitative Inquiry for Successful Curriculum Practice in the Era of Digital/AI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질적탐구학회
저자명
정정훈(Jung-Hoon Jung) 김영천(Young Chun Kim)
간행물 정보
『질적탐구』제11권 제3호, 29~6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공지능(AI) 및 디지털 전환 시대의 한국 초·중등 교육 환경 변화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내용을 반영하여,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학습 현상을 포스트휴먼 질적 연구 방법론을 통해 심층적으로 탐구하기 위한 연구 방법론적 접근을 제안한다. 최근 AI와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도입으로 인해 교수-학습 환경은 개인 맞춤형 학습, 비선형적 수업 방식 등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질적 연구는 인간 중심의 관점에 치우쳐 AI 기술과 인간 주체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과 비인간 요소의 역할을 충분히 포착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냈다. 이에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문화기술지, 포스트휴먼 현상학, 포스트휴먼 실행연구 등과 같은 방법론을 통해 인간과 비인간(기술, 알고리즘, 데이터 등)이 공진화하며 형성되는 교육적 실천을 재해석하고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방법론적 틀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관점을 적용한 질적 연구방법론 체계화를 통해 디지털 및 AI 활용 교육현상을 다차원적으로 해석하고, 초중등 교육현장에서의 기술과 인간 간 협력적 관계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정립하는 데 학술적 및 실천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s a methodological approach based on posthuman qualitative research to deeply investigate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phenomena in Korea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particularly within the contex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igital transformation, and reflecting the key tenets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ith the rapid introduction of AI and digital technologie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increasingly shifting toward personalized learning and nonlinear instructional approaches. However, traditional qualitative research, which remains predominantly human-centered, has limitations in fully capturing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AI technologies, human actors, and the roles of non-human element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posthuman ethnography, posthuman phenomenology, and posthuman action research as methodological frameworks that enable the re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educational practices as outcomes of co-evolutionary interactions among humans and non-humans. By systematiz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grounded in a posthuman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of AI-enhanced educational phenomena and contribute,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to the establishment of a new educational paradigm based on collaborative human-technology entanglements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디지털 교육/AI 교육을 위한 다양한 포스트휴먼 질적연구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정훈(Jung-Hoon Jung),김영천(Young Chun Kim). (2025).디지털/AI 교육 시대 성공적 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포스트휴먼 질적연구. 질적탐구, 11 (3), 29-60

MLA

정정훈(Jung-Hoon Jung),김영천(Young Chun Kim). "디지털/AI 교육 시대 성공적 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포스트휴먼 질적연구." 질적탐구, 11.3(2025): 29-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