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입 N수생의 삶
이용수 447
- 영문명
- The Lives of Repeaters of College Entrance Exam: Re-thinking Meritocracy and Education Fever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엄수정(Su Jung Um) 송요성(Yosung Song)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9권 제3호, 31~5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대입 N수를 경험한 19명의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 참여자들이 N수 경험을 어떻게 구성하고 해석하는지 탐구함으로써 능력주의와 교육열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Foucault의 담론 이론과 Deleuzed와 Guattari의 욕망 이론을 분석적 렌즈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우리 사회가 N수를 권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둘째, N수생들은 사회 지배담론의 예속적 주체이자 적극적인 행위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셋째, 대입 N수의 증가라는 현상 이면에는 특정한 삶의 방식을 추구하려는 코드화된 사회 구성원들의 욕망이 있었다. 연구 결과가 학교교육에 있어 갖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explores narratives of 19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repeated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think meritocracy by analyzing the ways in which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struct and interpret their experiences as repeaters. Foucault’s notion of discourse and Deleuze & Guattari’s concept of desire offers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analysis. It demonstrates that the society encourages them to choose to repeat the college entrance exam. The participants play a role as an active agent to reproduce the discourses of meritocracy while being simultaneously subjectivated by them. There is the type of social desire that is coded in a particular way underlying the phenomenon of repeating the college entrance exam.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schooling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대입 N수생 내러티브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홈스쿨링 경험과 성장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특수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적용 과정과 실행 경험의 내러티브
- 내러티브 자아에 근거한 자기주도 학습의 재개념화 탐구
- 교육과정에서 내러티브를 통한 공감과 역할 취득의 재개념화
- 교육 행정가로서의 듀이
- 초기 경력자의 ‘우리성’ 학습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내러티브 노년교육학의 이론적 기반과 주요 주제 탐색
- 백워드 설계를 위한 참평가의 준거 탐색
- ‘내러티브 페다고지’ 정립을 위한 試論的 연구
- 언어자본 관점에서 본 재미동포 2세 한국어 학습자의 정체성에 관한 내러티브 활용 연구
- 대입 N수생의 삶
- 고백적 글쓰기의 의미와 교육적 활용 방안
- 내러티브 케어로서의 초등교사 역할 재개념화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