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기 경력자의 ‘우리성’ 학습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178
- 영문명
- Narrative Inquiry of Novice Employees Becoming ‘We’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원(Jin-Won Kim) 유영만(Yeong-Mahn You)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9권 제3호, 135~16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초기 경력자의 이직에서는 조직 내 부적응이 가장 많이 나타나기에 초기 경력자의 조직 적응 및 조직에서의 정체성 형성은 중요한 부분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선행 연구에서 조직 문화에 걸맞은 정체성을 ‘우리’로 보고 ‘우리’로서의 조직 정체성을 초기 경력자가 획득한다면 조직 몰입 및 조직 공동체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 연구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를 기반으로 초기 경력자가 ‘우리성’을 학습하게 되는 과정과 ‘우리성’ 학습을 활성화할 수 있는 지원책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은 이질감을 체험하는 ‘초기 입성’의 단계, 감정적 관계를 통해 ‘집단 내로의 움직임을 시작’하는 단계, 감정적 소속감 강화와 업무적 성장을 기반으로 한 ‘핵심 원으로의 전진’ 단계, 위임을 통한 ‘핵심 원으로의 안착’ 단계라는 총 4가지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우리’를 학습하는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소규모 유대관계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환경 구성, 긍정적 피드백을 기반으로 한 대화의 장 구성,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기반으로 하는 업무적 위임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adaptation to company and the formation of identity in the organization of novice employees are the important part because maladjustment within the organization is the most common reason of leaving the organization for novice employees. Based on narrative inquiry,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learning process in which novice employees obtain membership of we-ness , and to derive way to support to promote learning of becoming “we”. It has been confirmed that becoming ‘we’ consisted of four stages: early entry to experience a sense of alienation; starting the movement into the group through emotional relationships; forward to the core circle based on emotional strengthening and knowledge growth; and settling to the core circle through delegation. In order to support the process of learning of becoming we ,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form an environment that could arouse small-scale ties, to form a venue for dialogue based on positive feedback, and to delegate work based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목차
Ⅰ. 문제의식: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의식의 출발
Ⅱ. 연구 방법
Ⅲ. 개별 내러티브의 해석 이해: 초기 경력자 개인의 현장 내러티브 텍스트 구성
Ⅳ. 공통 내러티브의 해석 및 이해: 초기경력자 공통 연구 텍스트로의 구성
Ⅳ. ‘우리’가 되는 학습 과정에서의 지원적 요소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홈스쿨링 경험과 성장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특수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적용 과정과 실행 경험의 내러티브
- 내러티브 자아에 근거한 자기주도 학습의 재개념화 탐구
- 교육과정에서 내러티브를 통한 공감과 역할 취득의 재개념화
- 교육 행정가로서의 듀이
- 초기 경력자의 ‘우리성’ 학습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내러티브 노년교육학의 이론적 기반과 주요 주제 탐색
- 백워드 설계를 위한 참평가의 준거 탐색
- ‘내러티브 페다고지’ 정립을 위한 試論的 연구
- 언어자본 관점에서 본 재미동포 2세 한국어 학습자의 정체성에 관한 내러티브 활용 연구
- 대입 N수생의 삶
- 고백적 글쓰기의 의미와 교육적 활용 방안
- 내러티브 케어로서의 초등교사 역할 재개념화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