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워드 설계를 위한 참평가의 준거 탐색
이용수 102
- 영문명
- Exploration of Authentic Assessment Criteria for Backward Design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황철형(Chulhyung Hwang) 정상원(Sangwon Jung)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9권 제3호, 257~28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백워드 설계는 교육과정 설계를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으로 교사들의 많은 관심을 이끌고 있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이 설계이론의 핵심 개념인 참평가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백워드 설계를 위한 참평가의 준거를 도출하여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여섯 가지의 준거가 도출되었는데, 그것은 학습의 기회 제공, 실제 맥락의 반영, 구체적인 평가 기준의 제공, 관찰 가능한 결과, 학생의 헌신 이끌기 등 이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에게 백워드 설계의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이론의 현장 확산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As a new perspective viewing the curriculum design, the backward design is drawing lots of attention from the teachers. Nevertheless, the discussion on the authentic assessment, which is core concept of this design theory, has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draw and apply the criteria of authentic assessment for backward design. As a result of this study, 6 criteria were drawn, which are provision of opportunity for learning, reflection of actual context, provision of specific assessment criteria, visible outcome, leading the student s devo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esent the specific direction of backward design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the teachers with implications to expand the theory in the field.
목차
Ⅰ. 서론
Ⅱ. 백워드 설계와 참평가의 개념
Ⅲ. 백워드 설계를 위한 참평가의 준거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홈스쿨링 경험과 성장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특수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적용 과정과 실행 경험의 내러티브
- 내러티브 자아에 근거한 자기주도 학습의 재개념화 탐구
- 교육과정에서 내러티브를 통한 공감과 역할 취득의 재개념화
- 교육 행정가로서의 듀이
- 초기 경력자의 ‘우리성’ 학습 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내러티브 노년교육학의 이론적 기반과 주요 주제 탐색
- 백워드 설계를 위한 참평가의 준거 탐색
- ‘내러티브 페다고지’ 정립을 위한 試論的 연구
- 언어자본 관점에서 본 재미동포 2세 한국어 학습자의 정체성에 관한 내러티브 활용 연구
- 대입 N수생의 삶
- 고백적 글쓰기의 의미와 교육적 활용 방안
- 내러티브 케어로서의 초등교사 역할 재개념화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