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대면 상황에서의 초등 사회과 수업 양상과 의미
이용수 326
- 영문명
- Aspects and Meanings of Social studies classes in Non-face-to-face situations
-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수업학회
- 저자명
- 곽혜송(Kwak, Hye Song) 홍미화(Hong, Mi Hwa)
- 간행물 정보
- 『사회과수업연구』제9권 제2호, 39~6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에서 초등교사가 사회과 수업을 어떻게 구상하고 실천하였는지, 그 과정에서 교사는 무엇을 성찰하였는지에 초점을 둔 자서전적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교사 Me의 사회과 수업 양상은, 첫째, 비대면 상황 초기의 단방향 수업에서는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온라인 수업용 콘텐츠를 만든다. 둘째, 비대면 상황의 수업 내용은 사실, 개념, 일반화 등 내용 지식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셋째, 비대면 수업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정서적 공유가 중요함을 깨닫고 새로운 학습 공간을 활용하여 참여와 협력 중심의 사회과 수업을 시도한다. 이는 급변하는 교육환경에서 학생의 사고와 참여를 고려한 새로운 형식의 사회 교과서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사회과 수업에 존재하는 교사와 학생들의 정서적 교류와 소통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새로운 학습 공간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코로나19 이후의 사회과 수업은 교사와 학생들이 지금과 다른 다차원적 공간에서 다양한 자료를 공유하며, 함께 문제를 확인하고 대안을 찾아갈 수 있는 수업이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autobiographical study focusing on how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practiced social studies classes and what the teacher reflected in non-face-to-face situations caused by COVID-19. The aspects of social studies classes in non-face-to-face situation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non-face-to-face one-way classes, social studies classes are made based on social textbooks. Second, in non-face-to-face situations, classes are organized by social studies knowledge such as concepts, facts, and generalizations. Third, as experiences of teaching in non-face-to-face situations accumulate, efforts are made to share emo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students and students. Me s autobiography suggests that a new textbook format centered on the nature of social studies is needed, and a new space for emotional exchange and communication among class members is required even in non-face-to-face situations. The social studies class after COVID-19 should be a class where teachers and students can share various materials in a multidimensional space, exploring problems together, and find alternatives.
목차
Ⅰ. 들어가기
Ⅱ. 연구 방법 및 대상
Ⅲ. 사회과 수업 만들기: 수업자 ‘Me’의 이야기
Ⅳ. 에필로그: 사회과 수업 다시 보기
Ⅴ. 나가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