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예술론의 의미와 특성

이용수  92

영문명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Criticism on Elementary Social Studies Instruction as Art
발행기관
한국사회과수업학회
저자명
남호엽(Nam, Ho Yeop)
간행물 정보
『사회과수업연구』제9권 제2호, 97~11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사회과수업의 예술성 규명에 초점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자전적 수업비평의 형태로 제출된 ‘파이데이아 수업보고’이며, 수업의 실천가들은 수업을 예술로서 인식하고 있었다. 사회과 수업예술론의 시각은 공학적 패러다임에서 벗어나면서 수업이해를 풍요롭게 한다. 연구자는 사례수업의 기록을 메타비평하면서 수업의 예술성을 탐색하였는데, 해당 수업의 주제는 개천절의 의미를 다루었다. 개천절 수업은 건국 신화를 통해 민족 정체성의 내러티브를 학습자가 인식하도록 한다. 사례 수업의 과정 속에 나타난 예술성은 ‘정서체험의 사건화’로 나타났다. 즉, 유머와 상실감과 같은 심리적인 정서 상태가 수업의 흐름 속에서 우발적으로 나타나면서 수업의 예술성을 야기하였다. 수업의 결과 측면에서 발견한 예술성은 ‘심성함양의 실체화와 의미 실현’ 양상이었다. 즉, 수업을 통해 선조들의 훌륭하고 아름다운 마음을 이해하고 현재화하도록 하면서 교과의 지향을 추구하였다. 사회과 수업예술론은 교사로 하여금 수업현상을 다각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도록 하면서 수업의 내실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rtistry of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instruction. The case of this study is The Paideia Instruction Report submitted in the form of autobiographical instructional criticism. I studied the teaching cases practiced by teachers, who judged instruction as art. The view of instruction as art enriches the understanding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as it deviates from the engineering paradigm. I explored the artistry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by the meta-criticism of the records of case instruction which dealt with the meaning of National Foundation Day. The instruction of National Foundation Day allows learners to recognize the narrative of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 founding myth. The artistry that appeared in the course of the case instruction was found to be incidentization of emotional experience . In other words, psychological emotional states such as humor and sense of loss accidentally appear in the flow of teaching and learning, causing the artistry of the instruction. In terms of the outcomes of the instruction, the artistry of the instruction was reification of mental cultivation and realization of the meaning . Namely, the practitioner of the case instruction pursued the purpose of the subject while allowing learners to understand and present the good and beautiful minds of their ancestors. When a social studies teacher sees instruction as art, he can understand the instruction richly and pursue faithfulness of the instruction.

목차

Ⅰ. 서론
Ⅱ. 수업예술론의 맥락과 사회과수업의 예술성 탐색
Ⅲ. 연구 설계
Ⅳ. 사회과 수업예술론 사례에 대한 메타비평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호엽(Nam, Ho Yeop). (2021).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예술론의 의미와 특성. 사회과수업연구, 9 (2), 97-117

MLA

남호엽(Nam, Ho Yeop).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예술론의 의미와 특성." 사회과수업연구, 9.2(2021): 97-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