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스템사고를 활용한 초등사회과 교육 방안 모색
이용수 236
- 영문명
-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Systems Thinking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
-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수업학회
- 저자명
- 이경윤(Lee, Kyung Yoon) 조의호(Jo, Eui Ho) 한춘희(Han, Choon Hee)
- 간행물 정보
- 『사회과수업연구』제9권 제2호, 63~8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금까지 사회과에서 사회 문제를 비판적으로 사고하여 합리적 시민성의 함양을 목표로 하였지만, 복잡한 문제의 변수 사이의 순환적인 관계를 이해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 중 하나로 시스템사고에 주목하였다. 시스템사고를 통해 사회 문제에 관여된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문제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최적의 문제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시스템사고의 의미와 방법을 알아보고, 시스템사고를 적용한 초등사회과 수업모델을 제시하였다. 시스템사고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 단계는 ‘문제 확인 -> 기본 지식 습득 -> 시스템모델 설계 -> 시스템모델 검토 -> 해결책 제안 및 실행, 반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모델을 적용하여 성취기준 [6사08-05]가 구현된 초등 6-2 교과서 2단원 내용 중 지구촌 환경 문제의 해결방안을 탐색하는 4차시 분량에 해당하는 부분을 재구성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egan with a sense of problem that Social Studies have so far aimed at cultivating rational citizenship, but there was a limit to systematically understanding complex problems and specifically suggesting solutions. The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system thinkings as one of the alternatives to solving this problem. Students can understand the problem in depth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lated to social problems through systems thinking and find a problem-solving method based on this.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meaning and method of systems thinking were investigat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an elementary social studies class model applied with systems thinking was presented. The social studies class stage applying systems thinking is confirmation of problems -> acquisition of basic knowledge -> system model design -> review of system model -> suggestion, implementation, and reflection of solutions . The instructional lessons applying this model in this study correspond to the 15-17th session of Unit 2 of the elementary 6-2 textbook. In this study, by applying this model,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4th hour of searching for solutions to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was reconstructed from the contents of the second part of the 6-2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where the achievement standard [6S08-05] was realized.
목차
Ⅰ. 서론
Ⅱ. 시스템사고와 초등사회과 교육
Ⅲ. 시스템사고를 활용한 초등사회과 수업 구안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탄소중립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와 기후변화에 대한 탐구 능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 대응 교육 내용
- 현장 교사들의 생태중심주의 및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