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 방과후 자원봉사활동이 회복탄력성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0
- 영문명
- The Effect of Youth After-school Volunteer activities on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방과후학교학회
- 저자명
- 정경숙(Jeong, Gyeng Suk)
- 간행물 정보
- 『방과후학교연구』제5권 제2호, 47~6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 방과후 자원봉사활동이 회복탄력성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이를 위해 경북에 소재한 중고등 학생 640명(중학생: 265명, 고등학생: 375명)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 회복탄력성, 대인 및 사회 책임성과 봉사활동들을 조사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이 실시되었다. 자원봉사를 독립 변인으로 회복탄력성과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인 및 사회책임성에 관련된 변인이 회복탄력성과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사사점과 의의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effect of youth after-school volunteer activities on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the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on 640 students in Pohang, Gyeong Ju, Yeong Cheon South Korea. The researchers asked questions to measure the levels of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resilience and volunteer activities related variables. The analysis of survey data was based on reliability tests of each measure,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of major variables,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hich we conducted to see what impact sub-factors of volunteer work have on interpers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had the highest degree of impact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and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f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demonstrate that resilience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목차
Ⅰ. 서론
Ⅲ.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Comparative Case Study on Material Perceptions and Sensory Response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 ultural Insights f or T extile E ducation
- Acceptance and Effects of Generative AI Tools: A TAM-Based Analysis in Fashion Education
- 기후 변화 대응 실천 지향 교수학습 적용을 위한 초⋅중등 가정과 교육 관련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