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방과 후 어린이집의 현황 분석 및 시사점 도출 연구
이용수 64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Implications of After School Child care Centers
- 발행기관
- 한국방과후학교학회
- 저자명
- 김선희(Kim, Seon Hee) 정경이(Jung, Kyung Lee)
- 간행물 정보
- 『방과후학교연구』제5권 제2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부가 2010년부터 추진한 초등돌봄교실의 정책이 어린이집의 방과 후 아동보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어린이집 의 아동보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어린이집의 아동보육 현황은 2011~2017년까지 해마다 약 8%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부가 2010년부터 모든 초등학교에 초등돌봄교실을 전면 확대 운영한 것이 하나의 원인일 수 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경상남도는 2011년에 비해 2017년에 약 5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강원도와 제주도는 약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별로 방과 후 아동 돌봄 서비스에 대한 학부모의 요구가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설립유형별에서는 법인단체, 민간, 국공립어린이집의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문제점으로는 아동 돌봄 서비스에서 설립유형별로 지역별 편차가 크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지역별로 초등돌봄교실과 어린이집 방과 후 아동보육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양적 및 질적 서비스 개선에 대한 방안을 지자체별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of child care at daycare centers from 2011 to 2017 to see how the policies of primary care classes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ffected childcare after school hours. According to research that the status of child care at daycare centers has decreased by about 8 % every year from 2011 to 2017. This could be cau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 extensive operation of primary care classes in all elementary schools starting in 2010. By regio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Busan Metropolitan City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were found to have decreased by more than 50 percent in 2017 from 2011, while Gangwon Province and Jeju Island have risen slightly. This suggests that parents demands for after-school child care services can vary from region to region. By type of establishment, corporate bodies, private organizations, and national and public sectors were relatively large. The problem was that there was a large regional deviation in child care services. Therefore a solution to this needs to be developed by local governments to improv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ervices by comprehensively managing primary care classes and after-school care for children in daycare cent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방과 후 전담 어린이집 현황 분석
Ⅳ. 문제점 및 시사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