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방과 후 돌봄교실 운영에서 지역사회 학부모 참여의 의의

이용수  81

영문명
Significance of Parent Involvement in Community Care in child Care classroom
발행기관
한국방과후학교학회
저자명
정영모(Jeong, Yeong Mo) 송지훈(Song, Ji Hun)
간행물 정보
『방과후학교연구』제5권 제2호, 37~46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방과 후 돌봄에서 지역사회 참여 사례를 살펴보고 그 의미를 고찰해 보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우리나라의 초등돌봄교실 운영형황을 살펴보았으며, 지역사회의 학부모가 중심이 되는 돌봄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초등돌봄교실이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질 개선을 위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질 개선을 위한 방법 가운데 하나로 지역사회의 학부모가 중심이 되어 지역사회의 아동을 함께 돌보는 공동육아 방식이 이미 실천되고 있었다. 특히 공동육아방식은 부모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동, 아동중심의 인간적인 서비스, 상호 간에 이루어지는 부모교육, 민관의 협력 방식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방식은 현재 정부가 중심이 되어 학교라는 공간내에서 돌봄을 지원하는 방식을 탈피하여 돌봄 서비스 제공 공간을 지역사회로 확대하는 좋은 롤 모델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징에서 발견되는 의의를 도출하고 향후 지역사회 중심의 학부모 참여가 보다 활성화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ses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care service and to search its implications. For the study, we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care classroom in Korea and looked at the case of care centered on parents in the community. Through this, it has been found that the elementary care classroom has been continuously expanded up to now, and recently, interest for quality improvement of it is increasing. Specifically, one of the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lementary care classroom of the community is centered on the parents of the community, and the co-parenting method of caring for the children of the community has already been practiced. Particularly, the co-parenting method has characteristics such a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parents, child-centered human services, parent education with mutual cooperation, cooperation method between civilian sector and public sector. This method is a good role model to expand the space to provide caring service to the community by moving away from the way that the government is now centered and supports the caring in the space of the school. In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se features is derived and suggested that community centered parent participation in child care classroom should be more active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우리나라 초등 돌봄교실의 운영 현황과 양적 공급 확대 노력
Ⅲ. 지역사회 학부모 참여 중심의 초등돌봄교실의 질 제고 노력
Ⅳ. 초등돌봄교실의 질 제고를 위한 지역사회 학부모 참여의 의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영모(Jeong, Yeong Mo),송지훈(Song, Ji Hun). (2018).방과 후 돌봄교실 운영에서 지역사회 학부모 참여의 의의. 방과후학교연구, 5 (2), 37-46

MLA

정영모(Jeong, Yeong Mo),송지훈(Song, Ji Hun). "방과 후 돌봄교실 운영에서 지역사회 학부모 참여의 의의." 방과후학교연구, 5.2(2018): 37-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