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Q3과 Testlet Variance 레벨 간의 관계로 국부의존성 검사

이용수  9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3 and the Level of Testlet Variance to Examine Local Item Dependence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조경화(Kyunghwa Cho) 이승진(Seungjin Lee)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42권 제2호, 1~1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역 독립성은 문항 반응 이론의 세 가지 필수적인 가정 중 하나입니다. 지역 독립성은 측정 문항이 다른 문항과 관련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Q3는 국부의존성을 측정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추정 지수입니다. testlet(하부검사)는 문항들의 그룹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독해 시험에서 각 독해에 적용되는 문항들은 그 독해의 다른 문항들과 관계가 있을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Q3을 이용한 국부의존성과 probit 2PL모델을 이용한 testlet효과를 측정하고, Q3와 testlet 효과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입니다. 이 연구에서 실행된 시뮬레이션의 결과, Q3와 testlet 효과는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문 초록

Local Item Independence is one of the essential assumptions in Item Response Theory. Local Item Independence means any item of the measurement is not related to another item. Q3 is a widely used estimation index to measure local item dependence. Testlet indicates the group of items to be applied to each reading passage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local item dependence by Q3 and the testlet effect with the probit 2PL model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Q3 and the testlet effect on passage-based testing with a simulation study.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the level of testlet effect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Q3.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
Ⅳ. Conclusions and Limitat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경화(Kyunghwa Cho),이승진(Seungjin Lee). (2020).Q3과 Testlet Variance 레벨 간의 관계로 국부의존성 검사. 교육연구, 42 (2), 1-18

MLA

조경화(Kyunghwa Cho),이승진(Seungjin Lee). "Q3과 Testlet Variance 레벨 간의 관계로 국부의존성 검사." 교육연구, 42.2(2020): 1-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