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취업 및 퇴직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전환행동 분석
이용수 42
- 영문명
- Analysis of transformative action of learners in outplacemen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위영은(Young-Eun Wee) 이희수(Hee-Su Lee)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47권 제2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전직교육이 학습자의 전환보다는 구직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기능적 측면에 초점이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변증법적 프락시스를 적용하여 전환행동을 분석함으로써 전직교육에서 전환이 촉진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재취업 및 퇴직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이직이나 창업에 성공한 전직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전직자는 개인경력 기반의 강점 탐색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발견하거나, 일과 삶에 대한 의미를 고찰하며, 나와 타인에 대한 인식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직자의 전환행동은 일의 목적이 사회참여나 기여로 변화되었고, 타인에 대한 권위적 관계방식이 소통적 관계방식으로 전환되었으며, 전직과정에서의 개인 변화가 가족, 조직,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전직교육에 제시하는 시사점은 첫째, 전환이 촉진되기 위해서는 전직교육에서 학습자를 구직자가 아닌 성찰자나 변화자로 인식해야 하며, 둘째, 전직자의 성찰을 촉진하는 다양한 학습전략과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셋째, 전직교육에서 바람직한 전환이 체계적으로 지원될 수 있는 강사양성과 교수학습 자료가 개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tarts from the critical mind that the tendency to regard the outplacement education as a instrumental means for finding a job has been prevailing up to 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outplacement education by analyzing transformative action based on dialectical praxis. For the analysis, in-depth interviews of 5 persons from Outplacement Education Institution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learners have the following reflection in common: 1) They have discovered personal values through searching strengths based on their career. 2) They have reviewed the meaning about the job and life. 3) They have experienced transformation of awareness of oneself and others. Also, learners have had transformative action to find job based on social participation and contribution, and to change his or her relationship structure with family and colleagues from hierarchical to communicative. Personal change affected change of the organization, community and society. These results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outplacement education. First, it is required to rediscover learners in Outplacement Education Institution who are not looking for a job but reflectors or change maker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apply various learning strategies that promote reflection. Third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teaching competences and materials to promote transformative action in outplacement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