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피드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이용수 41
- 영문명
- The Effects of Feedback on Organization Effectivenes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New Employe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박두환(Doo-Hwan Park) 홍아정(Ah-Jeong Hong)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47권 제2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수월한 직무수행과 조직적응을 위해 신입사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스스로 학습할수 있는 능력을 개발시켜 궁극적으로는 기업의 유효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내 기업에 재직 중인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피드백이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구조관계를 파악하여 개인과 조직 차원에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수도권에 위치한 기업에 입사한 3년차 미만의 신입사원 3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0.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신입사원이 인지한 피드백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관계가 있었고, 이직의도와는 부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입사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피드백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간에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입사원들에게 적합한 피드백이 제공되었을 때 직무에 보다 더 만족하고 조직에 몰입하게 되며, 이직의도를 낮추는 것은 물론 조직 유효성 향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이 고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신입사원들에게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제도와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Since securing talented people has become one of the critical strategies to survive in this competitive, global market, companies are putting every effort for new employees’ adaptation in the organization. Giving feedback to new employees is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way to enhance their performance and quick adaptation.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feedback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especiall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new employe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etween the variables. 345 new employees from the 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questionnaire. SPSS 20.0 and AMOS 20.0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eedback had a positive effect on new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lso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study also found out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feedback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 of the study implies that providing feedback to new employees not only enhance organization effectiveness but also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which is one of the best HRD strategies. Thus, in order to share feedback among new employees, support system and learning environment should be constructed in the organiz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