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적자본기업패널 자료를 활용한 한국 기업의 조직성과와 고성과작업시스템, 무형식학습 활용도의 관계
이용수 35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High-performance Work System, and Informal Learning Utilization of Corporations of Korea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박종선(Jong-Sun Park) 김진모(Jin-Mo Kim)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47권 제2호,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고성과작업시스템과 무형식학습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양상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조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역량 향상과 동기 부여가 필수적인 과정이라는 점을 통해 무형식학습이 두 변인 간의 관계를 강화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인적자본 기업패널에 2007년과 2009년 설문에 응답한 256개 회사의 기획/경영일반 담당자, HRM 담당자, HRD 담당자의 응답 결과를 조합하여 각 변인을 측정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고성과작업시스템은 당해연도(2007), 2년 후(2009) 조직성과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무형식학습 제도인 on-the-job training(OJT), 코칭/멘토링, 실행공동체(CoP) 중 OJT 활용도는 2년후 조직성과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OJT 활용도는 고성과작업시스템과 2년 후 조직성과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OJT의 유용성에 대한 강조와 함께 코칭, 멘토링, 실행공동체와 같은 무형식학습 제도를 구성하고 운영함에 있어 고민해야 할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high-performance work system (HPWS), and informal learning of Korean corporations. The data of 256 companies from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of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was used. We used data collected from multiple sources of strategic planners, HRM and HRD practitioners, and team leaders. We us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HPWS significantly predi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2007 and 2009 either. Second, among the practices of informal learning, only utilization of on-the-job training (OJT) significantly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after 2 years. Third, utilization of OJT significant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PW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2009.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