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이직의도와 경력학습, 고용가능성, 조직몰입 및 경력몰입의 관계

이용수  230

영문명
The Relationships among Turnover Intention, Career related Learning, Employabil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발행기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저자명
강인주(In Joo, Kang) 정철영(Chyul-Young Jyung)
간행물 정보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47권 제2호, 1~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이직의도와 경력학습, 고용가능성, 조직몰입 및 경력몰입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30대 그룹에 속한 18개 제조 계열사 사무직 근로자 650명을 유의표집 하였다. 최종 447명의 응답을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이직의도와 경력학습, 고용가능성, 조직몰입 및 경력몰입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경력학습과 고용가능성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경력학습은 고용가능성, 조직몰입 및 경력몰입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고용가능성은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었으며, 경력몰입에는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경력학습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고용가능성, 조직몰입 및 경력몰입의 간접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고용가능성은 매개변인으로,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은 억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섯째, 고용가능성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과 경력몰입 각각의 간접효과는 없었으나,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을 합한 총간접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억제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urnover intention, career related learning, employabil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all office workers who in the manufacturing subsidiaries of thirty major corporate groups listed by Fair Trade Commission. With purposive sampling method, 650 office workers were drawn from this population. 447 responses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ructural equation. The findings from analysis were as follows: ① Corre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was mod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ypothetical model analysis was suitable to empirical analysis on research variables. ② Career related learning and employability had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positivel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had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negatively. ③ Career related learning had direct effect on employabilit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positively. ④ Employability had no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employability had direct effect on career commitment positively. ⑤ Career related learning had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ith mediation effect of employability. However career related learning had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ith suppression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⑥ Employability had no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ith eac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but had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ith suppression effect of sum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인주(In Joo, Kang),정철영(Chyul-Young Jyung). (2015).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이직의도와 경력학습, 고용가능성, 조직몰입 및 경력몰입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7 (2), 1-27

MLA

강인주(In Joo, Kang),정철영(Chyul-Young Jyung).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이직의도와 경력학습, 고용가능성, 조직몰입 및 경력몰입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7.2(2015): 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