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로컬 크리에이터의 경험을 통한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대안 모색
이용수 558
- 영문명
- Looking for Alternatives to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Local Creators
- 발행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송하(Lee Song-ha)
- 간행물 정보
- 『모드니예술』제17호, 33~5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regarded alternatives to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by clarifying the experiences of local creators, who work in multi-meaning spaces, with phenomenological research.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using van-Mannen s analytical phenomenological approach, it analyzed the experience of local creators into life-world existential , as the experience structure. Alternatives for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identified by the experience study of local creators are as follows: Firstly, the subject who conducts culture and arts education should pay attention to the local community, recognizing that it is not an act of teaching but a participation of it. Secondly, in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take a lasting network by building a symbiotic relationship with loose solidarity. Thirdly, it needs a way to absorb into one s life through voluntary learning, not be separated from classes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urthly, local cultural facilities serving as a network hub, should become a space for interaction with local residents. Therefore, this study in applying the fundamental existential problems of locality, has a significance to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by demonstrating the experience of local creators in an existential mea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