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예술인 사회안전망
이용수 447
- 영문명
- Social Safety Network for Artists in the Post-Corona Age
- 발행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광중(Kim Kwang Joong)
- 간행물 정보
- 『모드니예술』제17호, 67~8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ccording to a survey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2018, the annual income of artists is below the minimum cost of living. Most people, including self-employed people, are in trouble, but the artist was too hit. In the meantime, the application of the artist employment insurance, which was sluggish, is a matter of making artists live their lives. Like workers, it is a way of joining, and if you meet the requirements, you can receive unemployment benefits and maternity leave benefits. It is meaningful that artists in the blind spot of social insurance have started to enter the social safety net. In addition, it is the starting point of discussion that our society should establish a universal social insurance system in line with the reality that many jobs are disappearing and emerging. As the employment insurance for artists has been passed by the mandatory subscription, the cost of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should be borne by the employer, and the national pension and health insurance system should be applied at the same level. At the end of the day, discussions on the construction of self-help organizations smart cooperatives by artists are also starting. The Social Mutual ART cooperative acts as an administrative work of artists starting in Belgium and plays a role as a social security and job platform. Artists should be united to create an organization to solve their own problems, and furthermore, they should be able to make a bigger voice in policy reflection.
목차
Ⅰ. 서론
Ⅱ. 한국의 예술인현황과 사회보장제도
Ⅲ. 해외의 예술인사회보장제도
Ⅳ. 예술인고용보험 시행과 스마트협동조합
Ⅴ. 시사점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