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ㆍ중등학교 영화 교과서 학교급별 내용 적절성 분석
이용수 58
- 영문명
- Analysis of Contents Appropriateness on Film Textbooks i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 저자명
- 유지선(You Ji Sun)
- 간행물 정보
- 『모드니예술』제17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 of film textbooks us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or each school level. After analyzing the film curriculum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ree film textboo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which analyzed the number of contents of a film textbook, the contents of film education were divided into three areas: film understanding, film production, and film appreciation. In addition, the content of education on ‘film production’ occupied the largest portion of all school levels. Next,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extbook units, units such as ‘image’, ‘birth of a film’, ‘film production’, ‘lighting’, and ‘shooting’ were duplicated at all school levels.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research, the following contents were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better film textbooks. First, a textbook that considers hierarchy should be produced so that classes can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udents level. Second, the direction in which film classes can be combined with other subjects and integrated classes should be considered. Third, it is necessary to sufficiently present the educational activity process for each unit topic.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문제 및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