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순환론과 지식의 정당화

이용수  64

영문명
Circularity and Justification of Knowledge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박상철(Sang-Cheol Park)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4권 제2호,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식 또는 명제의 정당화는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에 의한 정당화(결과주의), 절차에 의한 정당화(절차주의), 순환론에 의한 정당화가 그것이다. 한편으로, 결과주의와 절차주의, 다른 한편으로, 순환론에 의한 정당화는 명제와 진리 사이의 개념적 관련을 인정하는가 아닌가에 의해 구분된다. 사회적 인식론에 의하면, ‘인간의 인식’, 지식을 탐구하는 행위는 일체의 행위전통을 포괄하고 지배하는 ‘초실제’(super-practice)로서, 그 자신이 아닌 다른 어떤 것에 의해 의존하여 정당화될 수 없다.

영문 초록

There are three kinds of justification for knowledge and proposition; justification by results (consequentialism), by procedures (proceduralism), and by circularity. On the one hand, justification by results and procedures, and on the other hand, justification by circularity, can be distinguish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or proposition and truth. According to the social epistemology, Human cognition, or human acts of pursuing knowledge, which encompass and control every kinds of such-and-such practices, and which can be called a super-practice‘, is unable to mount any effective argument for the justification without using human cognition. In case of super-practice, its justification can only be accomplished by itself.

목차

Ⅰ. 서론
Ⅱ. 결과주의와 절차주의
Ⅲ. 순환론에 의한 정당화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상철(Sang-Cheol Park). (2012).순환론과 지식의 정당화. 도덕교육연구, 24 (2), 1-20

MLA

박상철(Sang-Cheol Park). "순환론과 지식의 정당화." 도덕교육연구, 24.2(2012):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