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왜 그리고 어떤 서사적 접근의 도덕교육이어야 하는가?

이용수  54

영문명
Why and How Be Narrativ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The Connection between Narrative and Moral Thinking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박재주(Jae-Joo Park)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4권 제2호, 83~11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사와 도덕교육의 연계성은 도덕교육으로서의 서사, 도덕적 방법론에서의 서사, 도덕적 대화의 적절한 한 형식으로서의 서사, 도덕적 정당화에서의 서사 등의 측면에서 논의할 수 있다. 서사는 내용 중심의 서사, 과정 중심의 서사, 반성 중심의 서사로 구분된다. 이야기의 내용은 단순히 기억되기보다는 그것을 듣거나 읽는 사람에게 모델이나 반-모델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야기의 도덕을 가르치기보다는 이야기들에 반응하면서 자신의 가치들을 다루게 하는 과정을 중요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를 통해서 어떤 도덕규범을 따라야 할 이유와 그것을 따르는 행위의 의미를, 반성을 통해 구성하게 할 수 있다. 이런 서사적 접근들을 통해 직관적 수준, 비판적 수준, 메타-윤리적 수준의 도덕 생각하기가 가능할 수 있다. 일상적인 이야기들을 통해 이루어지는 직관적 수준의 도덕 생각하기는 도덕적 의무들 사이의 갈등을 임기응변적인 방안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그것은 개인의 성품 발달과정과 유사하기 때문에 내용 중심의 서사와 연계된다. 비판적 수준의 도덕 생각하기는 갈등하는 도덕적 원칙들에 대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다. 그것은 이야기의 내용보다는 그 이야기에 대응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메타-윤리적 수준의 도덕 생각하기는 자신의 행위들에 의미를 부여할 이야기를 재구성하게 돕는 것이다. 그것은 반성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 진정한 서사적 접근의 도덕교육은 위에서 제시한 내용 중심, 과정 중심, 반성 중심의 서사가 통합되어야 하고, 그것을 통해 직관적 수준, 비판적 수준, 메타-윤리적 수준의 도덕 생각하기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We can argue about the connection of narrative with moral education in terms of narrative as moral education, narrative in moral methodology, narrative as an appropriate form of moral discourse. A number of ways that stories have been used in moral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approaches : The Content Approach, The Process Approach, The Reflection Approach. The contents of stories are not simply remembered but can provide a person who is listening to or reading them with model or anti-model. And we can focus our attention on the process of making pupils respond to the stories and deal with their values, and enable the reasons of obeying a certain moral principle to be informed and the meaning for action following it to be composed through the process of reflection. By virtue of these approaches, three levels of moral thinking can be possible : The Intuitive Level, The Critical Level, The Meta-ethical Level. The intuitive level of moral thinking aims at resolving the moral conflicts through expediences. The critical level of it aims at adjudicating between the conflicting moral principles. The meta-ethical level of it aims at helping pupils to compose meanings for their actions by means of reflection. The true and effective narrative approach to moral education has to unify the three levels of narrative and moral thinking.

목차

Ⅰ. 서론
Ⅱ. 서사와 덕 그리고 덕 교육의 연계성
Ⅲ. 서사적 접근과 도덕 생각하기의 수준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주(Jae-Joo Park). (2012).왜 그리고 어떤 서사적 접근의 도덕교육이어야 하는가?. 도덕교육연구, 24 (2), 83-110

MLA

박재주(Jae-Joo Park). "왜 그리고 어떤 서사적 접근의 도덕교육이어야 하는가?." 도덕교육연구, 24.2(2012): 83-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