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원효 ‘인식론’의 교육학적 함의
이용수 62
- 영문명
-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Won hyo(元曉) s Epistemology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이치형(Chi-Hyung Lee)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4권 제2호, 61~8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판비량론」에 나타난 원효의 인식론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원효의 인식론이 교육이론을 메타프락시스적으로 해석하는 데에 있어서 결정적인 ‘논거’를 제시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여, 판비량론 제 8절(증자증분과 자증분 논쟁)을 통해 본각과 시각이 개념적으로 구분될 뿐 사실적으로 분리될 수 없음을 논리적으로 간접 증명했다고 해석하였다. 이를 통해 메타프락시스적 논의가 요구하는 중층구조의 아이디어에서의 위층과 아래층의 ‘순환’이 필연적으로 요청되고, 교육(지식교육)이 삶과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개념적으로 규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곧 칸트의 이율배반론과 비교하여 원효의 삼지작법(논증식)에서의 논증과정이 갖는 의의를 파악하는 것이고, 그 과정에서 드러난 원효의 ‘인식론’으로 말미암아 교육이론으로서의 메타프락시스적 논의에 ‘힘’을 실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Won hyo(元曉) s epistemology will exemplify an educational theory as metapraxis . Specifically, through the eighth paragraph of 「Panbiryang-Ron」(判比量論), I will interpretate that the reality of awakening (本覺) is discriminated from the process of awakening (始覺) in conception, though they are not separate in fact in educational discussion. This interpretation is based on logical evidence in Won hyo s epistemology. Won hyo s discussion bears a close parallel to the discourse of metapraxis which focuses upon the rotation of reality and experience in epistemology. This view is cleared through that Won hyo s demonstration in epistemology could be compared with Kant s antinomy. Won hyo s demonstration in epistemology is the dispute of alaya-vijnana(阿賴耶識) in our consciousness system. As well, this is the core of dispute in Vijnaptimatrata(唯識學). The series of these demonstrations are related to educational theory as metapraxis. Therefore, I expect that this process will force the discourse of ‘metapraxis’.
목차
Ⅰ. 서론
Ⅱ. ‘판비량론 8절’의 현대적 해석
Ⅲ. 칸트의 인식론과 원효의 ‘인식론’ 비교
Ⅳ. 원효 ‘인식론’의 교육학적 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