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나딩스 배려교육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이용수 434
- 영문명
- Noddings Caring Education: A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
- 발행기관
- 한국도덕교육학회
- 저자명
- 임정연(Jeong-Youn Lim) 유재봉(Jae-Bong Yoo)
- 간행물 정보
-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24권 제2호, 135~16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배려교육론을 윤리적 관점이 아닌 교육적 관점에서 파악해야 한다는 전제하에 자유교육론의 보완으로서의 배려교육론을 탐색하고, 그것이 도덕교육에 주는 함의를 밝히기 위한 시도이다. 배려교육론의 관점에서 볼 때, 자유교육론은 인간 삶의 영역 중 사적영역을 소홀히 한다는 점, 인간 능력의 일부에 불과한 이성을 지나치게 강조한다는 점, 자유교육의 내용이 모든 학생들에게 적합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배려교육론에서는 교육의 초점을 교육내용보다는 인간 그 자체에 두고 인간 삶의 다양한 영역을 포괄적으로 수용할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좋은 삶을 영위하는 데 관심을 가진다. 배려교육의 목적은 학생들이 각자의 능력과 개성을 발달시키면서도 다른 사람(혹은 사물)을 배려할 줄 아는 인간이 되도록 교육하는데 있다. 배려교육론은 전인적인 인간의 양성, 교사-학생 관계 및 교우관계 개선, 다문화교육의 토대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도덕교육에 시사점을 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Noddings caring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o liberal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we criticize the claims of liberal education in the light of caring education, explore caring education as a whole, and discuss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ome possible criticisms of caring education itself.
From the caring education s perspectives, liberal education has some undesirable traits. First, it tends to ignore feminine skills, attitudes and abilities, whereas it emphasize rationality for a better life. Second, the contents of liberal education are not suitable for all students.
Caring education focuses on human beings rather than knowledge and contents of subject. Caring education also tends to address expressed needs rather than inferred needs . The aim of caring education is to develop student’s abilities and capacity for a better life and to educate student to learn caring. Given the aim above, curriculum in caring education should be restructured to reflect the centers of care. Effective methods are modeling, dialogue, practice and confirmation. In order to achieve caring education, the school needs to become caring community.
Caring education has som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 in terms of supporting well-rounded human development, recovering relations of teacher-student and offering a firm ground for multi-cultural moral education. However, the question of whether caring education can be an alternative to liberal education should be still examined.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자유교육의 한계
Ⅲ. 나딩스의 배려교육론
Ⅳ. 나딩스 배려교육론의 도덕교육적 함의와 한계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