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PBL에서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조절, 집단응집성이 지속수강의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06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satisfaction, self-regulation, co-regulation, and group cohesiveness oncontinuous learning intention in university’s PBL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최미나(Mina Choi) 노혜란(Hye-Lan Roh)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32권 제2호, 163~18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5.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PBL(Problem Based Learning))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의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조절 및 집단응집성이 PBL을 지속적으로 수강하고자 하는 의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A 대학교에서 2019학년도 2학기에 운영된 PBL 12개 강좌를 수강한 학생 400명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유효한 응답자 총 196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조절, 집단응집성이 모두 유의미하게 높았고, 교양보다 전공에서 집단응집성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조절, 집단응집성 중 사회적응집성은 PBL 지속적 수강의향 예측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의 집단응집성 중에서 과업응집성은 PBL 지속적 수강의향 예측에 영향을 주었는데, 과업응집성이 낮을수록 PBL을 지속적으로 수강하지 않을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에서 PBL 수업의 협력학습 설계 시 팀원 간 과업응집성이 높아질 수 있도록 팀 활동을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self-regulation, co-regulation and group cohesiveness affect continuous learning intention in university’s PBL (Problem Based Learning). For this study, onlin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400 students who took 12 PBL subject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at A University. A total of 196 valid respondents were subject to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regulation, co-regulation and group cohesivenes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than in female, and the group cohesive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jor subjects than in liberal arts subjects. Second, self-regulation, co-regulation, and social cohesiveness among group cohesiveness did not appear to affect the continued intention to take PBL subject. Third, task cohesiveness among group cohesiveness had an effect on predicting the intention of continuous learning to PBL subje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upport team activities to increase task cohesion among team members when designing collaborative learning in PBL at univers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