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피드백 및 학생실수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과 피드백 수행의 관계

이용수  268

영문명
Relation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Beliefs about Feedback and Student Error to Their Feedback Practice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오문정(Oh, Moonjeong) 박용한(Park, Yonghan)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32권 제2호, 255~28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전공계열에 따른 피드백 수행, 피드백 인식, 학생실수 인식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 피드백 및 학생실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이들의 피드백 수행을 어떻게 예측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3개 도시 중·고등학교 교사 294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 결과를 일원분산분석 및 중다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체능 계열 교사가 인문·사회 계열 교사보다 비교사 피드백 수행을 많이 하고, 자기조절 피드백과 피드백의 적시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생실수에 대한 유능감과 고찰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피드백에 대한 책무성 인식은 4가지 유형의 모든 피드백 수행(비교사, 형성적, 의례적, 학부모 피드백)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피드백에 대한 학습향상 인식은 의례적 피드백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넷째, 학생의 실수를 숨기려는 교사의 태도는 비교사 피드백을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학생실수에 대한 부담은 형성적 피드백과 의례적 피드백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학생실수에 대한 도전적인 태도는 학부모 피드백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피드백을 교사의 역할로 인식하는 것의 중요성을 확인해 줄 뿐만 아니라, 교사가 학생의 실수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서도 피드백 수행에서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피드백을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 상황에서의 피드백 및 실수가 가진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먼저 교사의 인식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econdary-school teachers’ feedback practice, beliefs about feedback, and beliefs about student error by their teaching subject field. In addition, the study explored how teachers’ beliefs about feedback and student error predicted their feedback practice. For those purposes, data from 294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rts and PE teachers performed more ‘non-teacher feedback’, put more importance on ‘timeliness of feedback’ and ‘self-regulated feedback’, and showed a higher level of ‘competence about student error’ and ‘reflection about student errors’ th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eachers. Second, teachers’ belief about feedback as ‘accountability’ positively predicted all four types of feedback practice (i.e., non-teacher feedback, formative feedback, protective evaluation feedback, and parent reporting feedback). Third, teachers’ belief about feedback as ‘learning improvement’ negatively predicted ‘teacher protective evaluation feedback’. Fourth, teachers’ tendency of covering up student errors positively predicted ‘non-teacher feedback’, whereas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 error as strain positively predicted ‘protective evaluation feedback’ and ‘formative feedback’. Also, teachers’ challenging attitude toward student errors negatively predicted ‘parent reporting feedback’.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teachers’ perception of feedback as their primary role and showed that teachers’ feedback practice would be affected by how they perceived student error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eachers should enhance their awareness about the positive effects of feedback and error in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in order to increase various forms of teachers’ feedback practi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문정(Oh, Moonjeong),박용한(Park, Yonghan). (2020).피드백 및 학생실수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과 피드백 수행의 관계. 교육방법연구, 32 (2), 255-282

MLA

오문정(Oh, Moonjeong),박용한(Park, Yonghan). "피드백 및 학생실수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과 피드백 수행의 관계." 교육방법연구, 32.2(2020): 255-2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