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단계 직업교육구조 개혁: 국제적 동향과 시사
이용수 37
- 영문명
- Educational Structure Reform of Non-University in Tertiary Education: International Reform Trends and Impl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표(Jung Pyo Lee)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24권 제3호, 297~31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일본, 핀란드, 독일, 대만 등을 중심으로 고등단계 직업교육의 구조 개혁 동향을 분석하고, 전문대학의 역할 및 정체성, 수업연한, 계속 직업교육 체제 구축 등 최근 우리나라 전문대학을 둘러싸고 제기되는 쟁점들에 대한 답변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각국의 고등단계 직업교육은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영미권 국가는 지역사회 및 평생교육에 대응한 다양한 백화점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에 비해, 독일권 국가들은 4년제 일반 대학과 동등한 수준의 실무중심대학으로 구축 운영하고 있다. 특히 영미권 국가의 경우 전문대학이 전통적으로 단기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독자적 혹은 대학과 연계하여 학사학위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영미권 국가와 독일권 국가간에 계속 직업교육 경로가 다소 차별적으로 설계되어 왔으나, 개인의 학습선택권을 보장하면서도 제도적으로는 계속직업교육이 가능한 구조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공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이같은 각국의 고등단계 직업교육의 개혁 동향을 통해서 전문대학의 정체성 확보는 물론, 유연한 수업연한으로의 개선, 계속 직업교육 경로 설계 등의 정책적 노력이 요청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form trends of non-university institutions in the selected countries(US, UK, Canada, Australia, Japan, Filand, Germany, Taiwan) and to suggest the reform directions of Korean tertiary education centering around junior colleges. Comparative analysis is focused on the roles and identities of junior colleges, the study duration management and continuing vocational educations pathway, which junior colleges suffer from distintive policy issues and problems. Generally, the countries fall into two groups, although the distinction in not absolute. English-speaking countries offer vocational or a wide range of learning programmes and serve their local communities. Also, some non-university institutions can grant bachelor degree or offer joint qualifications and degree in collaborate with universities. German-speaking countries have developed the advanced long-duration vocational colleges in competition for the status with universities. The extent to which their goal is vocational preparation or a wider range of learning, the levels at which students are taught, and continuing vocational education pathways structure provide the implications of reform directions of Korea junior colleg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업단지 근로자의 인적자원개발 실태 및 개선방안
- 중·고등학생을 위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 기업 e-Learning 기획자의 직무 분석 및 직무 인식 조사 연구
- 자격분류를 활용한 자격의 임금효과분석에 관한 시범연구
- 의미분별법에 의한 실과(기술,가정) 교과서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태도 분석
- 공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 실행 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 참여로서의 일터 학습 - 기업체 신입사원 및 초급관리자 사례를 중심으로
- 초·중·고등학교 교과교육을 통한 발명교육의 목표 체계 및 내용 기준에 관한 연구
- 대학수학능력시험 예비 평가 문항 개발 과정에 대한 참여 관찰 연구 - 직업탐구영역 「식품과 영양」 과목을 중심으로 -
- 고등단계 직업교육구조 개혁: 국제적 동향과 시사
- 국가유공자 취업보호제도의 개선 방안
- 자활직업훈련 효과에 관한 연구
- 여대생용 자기진단검사의 양호도검증 및 학년별·대학별 차이분석: D대학을 중심으로
-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 및 과제
- 한국 대기업 연수원의 핵심인재 교육 프로그램 내용 분석
- 학과 및 직업카드를 활용한 단기 진로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 분석 -HRD자본, 사회문화적 자본, 개인적 자본 측면의 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