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활직업훈련 효과에 관한 연구
이용수 29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Vocational Training for the Low-Income Clas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오영훈(Young Hoon Oh)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24권 제3호, 317~34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저소득계층을 위한 자활직업훈련의 효과를 자격증취득가능성, 취업가능성, 소득의 수준으로 구분하고 이 세 가지 효과에 미치는 훈련내적요인 및 훈련외적요인 그리고 노동시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자활직업훈련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연구결과 훈련내적요인으로서 훈련기간과 훈련직종, 취업여부가 자격증취득 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훈련외적요인의 경우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없었다. 또한 취업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격증취득과 기계장비, 건설관련 훈련직종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에 영향을 주는 훈련내적요인은 직장에서의 직무와 이수훈련의 관련성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훈련외적요인 중에서는 성, 교육수준, 노동시장요인에서는 1일 근무시간과 사업장 규모가 양의 방향에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자활훈련이 자격증취득과 취업가능성을 높이는 데는 기여하고 있지만 소득 수준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개인이 이수한 훈련직종과 직무와의 관련성이 소득 수준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은 취업지도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자활훈련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수요자인 사업장 중심의 적합 훈련직종이 발굴되고,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vocational training effects and the factors that have influence on it.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divides the vocational training effects into three parts: trainee s productivity, probability of employment, and level of income.There are two kinds of factors that influence the vocational training effects: internal factor and external factors of the vocational training programs. The major findings are:(1) Among the internal factors, total training hours and trades of training influenced trainee s productivity. None of external factors was found to promote productivity significantly.(2) Among the internal factors, trades of training and qualification raised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 significantly. And among the external factors, only marriage status was positive factor.(3) None of internal factors influenced the level of income significantly, but the relation between job and training was found to influence trainee s income significantly. Among the external factors, gender and the level of education influenced the level of income significantly. And Among labor market factors, the training hours and the firm size were significant factors.(4) Self-sufficiency programs should develop and implement company-oriented training courses instead of courses that the recipients want. At the same time, the programs should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compani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employment.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업단지 근로자의 인적자원개발 실태 및 개선방안
- 중·고등학생을 위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 기업 e-Learning 기획자의 직무 분석 및 직무 인식 조사 연구
- 자격분류를 활용한 자격의 임금효과분석에 관한 시범연구
- 의미분별법에 의한 실과(기술,가정) 교과서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태도 분석
- 공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 실행 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 참여로서의 일터 학습 - 기업체 신입사원 및 초급관리자 사례를 중심으로
- 초·중·고등학교 교과교육을 통한 발명교육의 목표 체계 및 내용 기준에 관한 연구
- 대학수학능력시험 예비 평가 문항 개발 과정에 대한 참여 관찰 연구 - 직업탐구영역 「식품과 영양」 과목을 중심으로 -
- 고등단계 직업교육구조 개혁: 국제적 동향과 시사
- 국가유공자 취업보호제도의 개선 방안
- 자활직업훈련 효과에 관한 연구
- 여대생용 자기진단검사의 양호도검증 및 학년별·대학별 차이분석: D대학을 중심으로
-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 및 과제
- 한국 대기업 연수원의 핵심인재 교육 프로그램 내용 분석
- 학과 및 직업카드를 활용한 단기 진로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 분석 -HRD자본, 사회문화적 자본, 개인적 자본 측면의 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