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미분별법에 의한 실과(기술,가정) 교과서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태도 분석
이용수 17
- 영문명
- A Case Study on Attitude of Teachers and Students toward Practical Arts(Technology Education,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through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이용환(Yong Hwan Lee) 최유현(Yu Hyun Choi) 한지영(Ji Young Han) 이한규(Han Kyu Lee) 방재현(Jae Hyun Bang)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24권 제3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의미분별법을 이용하여 교사와 학생의 실과(기술가정) 교과서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의미분별법에 의해 실과(기술가정) 교과서에 대한 태도 관련 요인구조를 분석하고, 학생과 교사의 실과(기술가정) 교과서에 대한 태도를 성별, 학교급별로 비교분석하였다.이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 방법이 적용되었다. 문헌고찰은 주로 태도, 의미분별법, 실과 교육관련 문헌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조사연구는 5학년부터 10학년까지의 학생 1,260명과 이들의 실과(기술가정) 교과를 담당하는 교사 16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는데 설문지 회수율은 82%였다. 설문에 사용된 문항수는 38문항이었는데 요인분석을 통해 29문항만을 의미분별법의 세 가지 요인인 평가요인, 능력요인, 활동요인의 요인구조를 파악하는데 이용되었다. 세 가지 요인에 대해 교사와 학생들이 실과(기술가정) 교과서에 대해 가지는 태도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t 검증, F 검증 등의 통계방법을 사용해서 처리하였는데, 모든 통계처리는 SPSS 11.5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은 실과(기술가정) 교과서에 대해 학생들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다.
2. 교사와 학생들의 실과(기술가정) 교과서에 대한 태도에 있어 성별에 따른 유의차가 없다.
3. 초등학교 학생들은 실과(기술가정) 교과서에 대해 중고등학교 학생들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다.
4. 중학교 교사들은 실과(기술가정) 교과서에 대해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교사들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다.
5. 교과서에 대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태도 수준에 있어 교과서 채택율과 상관없이 출판사별로 편차가 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ttitude for practical arts(technology education․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textbook of teachers and students using it through the Semantic Differential.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and surveying subject about attitude for practical arts(technology education․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textbook of teachers and students from 5 grade to 10 grade by using the questionnaires. Subjects of surveying were 1,260 students and 168 teachers. Survey was done by mailing and analysis method was used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tes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Teachers had positive attitude for practical arts(technology education․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textbook than students
2.Teachers and students s attitude for practical arts(technology education․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textbook by sex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 for practical arts(technology education․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textbook was more positiv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
4. Middle school teachers attitude for practical arts(technology education․home economics) subject matter textbook was more positive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high school teachers .
5. Attitude level of students and teachers for textbooks had big variation among publishing company without regard to chosen rate of textbook.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업단지 근로자의 인적자원개발 실태 및 개선방안
- 중·고등학생을 위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 기업 e-Learning 기획자의 직무 분석 및 직무 인식 조사 연구
- 자격분류를 활용한 자격의 임금효과분석에 관한 시범연구
- 의미분별법에 의한 실과(기술,가정) 교과서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태도 분석
- 공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 실행 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 참여로서의 일터 학습 - 기업체 신입사원 및 초급관리자 사례를 중심으로
- 초·중·고등학교 교과교육을 통한 발명교육의 목표 체계 및 내용 기준에 관한 연구
- 대학수학능력시험 예비 평가 문항 개발 과정에 대한 참여 관찰 연구 - 직업탐구영역 「식품과 영양」 과목을 중심으로 -
- 고등단계 직업교육구조 개혁: 국제적 동향과 시사
- 국가유공자 취업보호제도의 개선 방안
- 자활직업훈련 효과에 관한 연구
- 여대생용 자기진단검사의 양호도검증 및 학년별·대학별 차이분석: D대학을 중심으로
-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 및 과제
- 한국 대기업 연수원의 핵심인재 교육 프로그램 내용 분석
- 학과 및 직업카드를 활용한 단기 진로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 분석 -HRD자본, 사회문화적 자본, 개인적 자본 측면의 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