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이용수 18
- 영문명
- Key Competencies Level of Students Recognized by Specialized Subjects Teachers in Industrial High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직업교육학회
- 저자명
- 우상호(Sang Ho U) 임호권(Ho Kwon Lim) 오승균(Seung Gyun Oh) 김진수(Jin Soo Kim)
- 간행물 정보
- 『직업교육연구』제24권 제3호, 69~9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고등학교에서 전문교과를 담당하는 교사들이 인식하는 공업계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을 조사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한 표본은 전국의 공업계고등학교에서 전문교과를 담당하는 교사들을 지역별(대도시, 중소도시, 군 이하 지역), 계열별(전기전자통신 계열, 기계금속 계열, 건설 계열)로 분류하고 각 지역의 계열별로 3개교 씩 총 27개교를 군집 표집하였다. 조사 도구의 개발은 국내외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연구 사례를 종합하고 전문가의 협의를 거쳐 8개 영역, 34개 능력으로 구성된 직업기초능력을 마련하였다. 조사 도구인 설문지는 총 324부를 배부하여 242(74.7%)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고, 통계 분석으로는 기술통계, F-검증 등을 사용하였고 사후검증으로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공업계고등학교에서 전문교과를 담당하는 교사들은 공업계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으로 8개 영역 중 기술 능력 영역을 가장 높은 수준으로 보았다. 둘째, 계열별에 따른 공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들의 인식에서는 전기전자통신 계열의 교사들이 다른 계열의 교사들보다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에 대한 인식치가 높았다. 셋째, 공업계고등학교의 소재지에 따른 전문교과 교사들의 인식에서는 대도시 소재 학교의 교사들이 타지역 소재 학교의 교사들보다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에 대한 인식치가 높았다. 연구의 전반적인 결과를 통해 공업계고등학교에서 전문교과를 담당하는 교사들이 인식하는 공업계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은 모든 영역과 하위 요소에서 보통 이하의 수준에 분포되어 있으므로 공업계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교과에 포함되어있는 직업기초능력 수준을 학생들의 이해 수준에 맞추고,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체험에 의한 직업기초능력의 습득과 신장이 이루어지도록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how the specialized subjects teachers of industrial high schools recognize the level of their students key competencies. Therefore, we employed cluster sampling with stratification to classify the population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ized subjects of industrial high schools. We also classified it by field, that was, the field of electricity,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he field of machine and metal, and the field of construction. Through this classification, it had made the samples consisting of 27 high schools. For this study, key competencies consisting of 34 factors under 8 areas were determined. Total 324 copies of the questionnaire had been distributed, 242 of which were used f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F-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the students key competencies that the specialized subjects teachers of industrial high schools recognize was found average or lower (3.0) in all the fields. Second, the teachers in the field of electricity,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evaluated their students key competencies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fields. Third, the teachers working in large cities evaluated their students key competencies higher than those working in other regions.
The above results show the level of the students key competencies that is recognized by the teachers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variables, but in general, it was distributed between 2 points (low) and 3 (average). It suggests that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facing the rapidly changing job world as preliminary workers, should make a lot of efforts to improve their key competenci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산업단지 근로자의 인적자원개발 실태 및 개선방안
- 중·고등학생을 위한 발명교육 프로그램 개발
- 기업 e-Learning 기획자의 직무 분석 및 직무 인식 조사 연구
- 자격분류를 활용한 자격의 임금효과분석에 관한 시범연구
- 의미분별법에 의한 실과(기술,가정) 교과서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태도 분석
- 공업계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
- 실행 공동체(Communities of Practice) 참여로서의 일터 학습 - 기업체 신입사원 및 초급관리자 사례를 중심으로
- 초·중·고등학교 교과교육을 통한 발명교육의 목표 체계 및 내용 기준에 관한 연구
- 대학수학능력시험 예비 평가 문항 개발 과정에 대한 참여 관찰 연구 - 직업탐구영역 「식품과 영양」 과목을 중심으로 -
- 고등단계 직업교육구조 개혁: 국제적 동향과 시사
- 국가유공자 취업보호제도의 개선 방안
- 자활직업훈련 효과에 관한 연구
- 여대생용 자기진단검사의 양호도검증 및 학년별·대학별 차이분석: D대학을 중심으로
- 초·중등 진로교육의 실태 및 과제
- 한국 대기업 연수원의 핵심인재 교육 프로그램 내용 분석
- 학과 및 직업카드를 활용한 단기 진로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 분석 -HRD자본, 사회문화적 자본, 개인적 자본 측면의 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