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

이용수  201

영문명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of Career Decision Level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박신영(Shin Young Park) 이동형(Dong Hyung Lee)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32권 제1호, 23~3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8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진로결정수준과 다양한 영역의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역할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및 대학생활적응(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의 4 영역)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았으며, 진로발달의 이차원적 개념화에 기초하여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그리고 진로결정수준과 모든 영역의 대학생활적응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진로준비행동도 개인·정서적응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는 학업적응과 대학환경적응 영역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이 매우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진로준비행동을 많이 할수록 학업적응이 뚜렷하게 높아지는 반면, 진로결정수준이 중간 정도인 경우에는 이러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진로준비행동을 많이 할수록 대학환경적응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지만, 진로결정수준이 낮거나 중간 정도인 경우에는 대학환경적응이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이 동시에 회귀식에 투입되었을 때, 진로결정수준만이 사회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 진로준비행동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개인·정서적응에 진로준비행동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활적응에 있어서 진로결정수준의 전반적인 긍정적 효과와는 달리 진로준비행동의 효과는 그 크기와 방향에 있어서 개인의 진로결정수준과 구체적인 적응 영역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Present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CPB) in the relationship of career decision level(CDL)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SAC) in multiple domains. The Career Decision Scal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urvey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15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one of four universities in Busan metropolitan area in Korea. The SAC was measured in four domains including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college attachment.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a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of CDL and CPB, an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DL and four SAC domains. Correlations between CPB and SAC domains, except for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were also positive. Results fro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moderating effects of CPB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DL and SACQ were significant in academic adjustment and college attachment; while the positive effect of CPB on academic adjustment was significant only if CDL was very high or low (not moderate), the positive effect of CPB on college attachment was significant only when CDL was very high. Results also indicated that CDL, but not CPB, had a unique positive effect on social adjustment. Finally, CDL had a unique positive effect and CPB had a unique negative effect on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 contrast to consistent positive effects of CDL on SAC domains, the nature of effects of CPB can vary across different CDLs and SAC domain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in detai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신영(Shin Young Park),이동형(Dong Hyung Lee). (2013).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 직업교육연구, 32 (1), 23-38

MLA

박신영(Shin Young Park),이동형(Dong Hyung Lee).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 직업교육연구, 32.1(2013): 23-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