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강도 간헐적 운동이 여자 중학생의 건강관련체력과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9
- 영문명
- Effects of High Intensity Interval Training on Health Related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Middle School Girl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뇌·AI기반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태희(Tae-Hee Lee) 이혜윤(Hye-Yun Lee) 김경래(Kyeong-Lae Kim)
- 간행물 정보
- 『Brain, Digital, & Learning』제10권 제1호, 137~14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igh intensity interval training on health related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middle school girls. For this purpose, the participants randomly selected 24 girls in the second grade at Middle School, assigned 12 randomly to the exercise and control group each, and measured their health related fitness and bone mineral density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wo-way repeated ANOVA was used to analyze within and between group differenc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ccording to time and that interactions happened between group and time in muscle strength, cardiopulmonary endurance, flexibility, and % body fa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group, time, and group×time interaction. It is thought that high intensity interval training can be effectively used to promote health and improve physical fitnes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for adolescents who cannot participate in training due to lack of time.
목차
I. Introduction
II. Methodology
III. Results
Ⅳ. Discussions
V. Conclus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중학교 자극과 반응 단원의 연계성 분석
- 통계적 사고 능력 향상을 위한 인포그래픽 활용
- 고강도 간헐적 운동이 여자 중학생의 건강관련체력과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 생명과학 교과서의 표에 제시된 표제 위치에 대한 시선고정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2학년 교과서의 과학교육 목표 분석 - Klopfer의 교육목표 분류 중심으로 -
- Exploring Students’ Early and Campus E-Learning Experiences for Academic Success
- 인터넷 여성 혐오 발언 유형과 담론 구조 분석
- 초등수학수업에서 시선영상 자기반성을 통한 초보 교사의 시선 변화 분석
- Kinetic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the Basketball Set Shot of Skilled and Unskilled Basketball Players
- 질병과 관련된 생명과학개념에 대한 예비과학교사들의 개념 분석
- 인공지능 윤리와 도덕과 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