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계적 사고 능력 향상을 위한 인포그래픽 활용
이용수 118
- 영문명
- Using Infographics for Improving Statistical Thinking Ability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뇌·AI기반교육연구소
- 저자명
- 서정화(Jeong-Hwa Seo) 이광호(Kwang-Ho Lee)
- 간행물 정보
- 『Brain, Digital, & Learning』제10권 제1호, 27~3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ays to improve student’s statistical thinking ability using infographics. And to do so, the textbooks were analyzed and reconstructed into infographics. The experiment group was taught statistics using infographics, and the comparison group was taught statistics according to the existing textbooks. Then, the statistical thinking ability test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statistical thinking ability. Statistical thinking ability was examined by classifying thinking ability tests. In addition, the eye-tracking test was conducted to see if the infographic factors affect the difference in statistical thinking ability. As a result of statistical thinking ability test and eye tracking data, statistical learning using infographic was effective in improving statist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this, the implications for introducing infographics into mathematics textbooks were suggested
목차
I. Introduction
II. Research Methods
III. Results and Discussion
IV. Conclusion and Suggest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중학교 자극과 반응 단원의 연계성 분석
- 통계적 사고 능력 향상을 위한 인포그래픽 활용
- 고강도 간헐적 운동이 여자 중학생의 건강관련체력과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 생명과학 교과서의 표에 제시된 표제 위치에 대한 시선고정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2학년 교과서의 과학교육 목표 분석 - Klopfer의 교육목표 분류 중심으로 -
- Exploring Students’ Early and Campus E-Learning Experiences for Academic Success
- 인터넷 여성 혐오 발언 유형과 담론 구조 분석
- 초등수학수업에서 시선영상 자기반성을 통한 초보 교사의 시선 변화 분석
- Kinetic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the Basketball Set Shot of Skilled and Unskilled Basketball Players
- 질병과 관련된 생명과학개념에 대한 예비과학교사들의 개념 분석
- 인공지능 윤리와 도덕과 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