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원 교육의 환경적・교육적 요인과 대학원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276
-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and Educational Factors of Graduate School and Satisfaction with Graduate School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이진령(Lee, Jin-Young) 박강현(Park, Kang-Hyun) 김비아(Kim, Bia)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29권 제4호, 265~28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원 교육의 환경적․교육적 요인과 대학원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환경적 요인과 대학원 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육적 요인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각 변인의 성별 계열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 설정하여 적합도를 살펴보고, Bootstraping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분석결과 여학생은 교육과정, 강의, 장학지원, 인권, 대학원 만족도변인 모두 남학생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계열에 따른 차이분석결과 장학지원은 공학 및 자연계열이 인문사회계열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원만족도는 공학계열이 인문사회, 자연계열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대학원의 교육적・환경적 요인과 대학원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적・환경적 요인은 대학원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며, 환경적 요인은 교육적 요인을 매개로 대학원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대학원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장학지원과 인권보장과 같은 안정적 수학 환경을 조성하고, 교육과정, 강의와 같은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was to understand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environmental and educational factors of graduate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tried to verify that the educational factors have a medial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satisfaction of graduate education.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a total of 652 peopl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Results: Femal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lectures, scholarship support and human rights were all low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It was observe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lectures, scholarship support and human right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jor groups. Conclusion: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graduate educa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a stable environment such as scholarship support and guarantee of human righ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such as curriculum and lectur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RA 전략 기반 수감각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중재반응모델 2단계 적용
-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관련 변인의 메타분석
- 유아교육기관 하루일과 속 영유아의 휴식 탐구: 교사의 시선으로 들여다보기
- 진로목표추구행동 발달 궤적, 관련 예측변인 및 결과변인 : 사회인지진로모형에 근거하여
- 교사의 놀이 교수효능감 및 유아의 놀이성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 보육교사의 자아상태와 스트로크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창의·인성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특수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교직적응탄력성
- 대학의 플립드러닝에서 학습 이해도 및 교수·학습자 역할 평가
- 학교단위 민주적 의사결정과 교사의 갈등지수가 교사효능 감과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형혁신학교와 일반 학교의 비교를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 기반 토픽 모델링을 통한 대학 교수자의 교수(Teaching)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상상력을 활용한 교육활동에서 드러나는 유아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학사경고경험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중요도-수행도 분석
- 유치원교사의 양성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 푸코의 자기배려에 대한 소고: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을 중심으로
- 괴롭힘 가해-피해 남자 중학생의 사회·정서적 기능: 가해 및 피해 집단과의 비교
- 교장 공모제와 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학교 활력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
- ‘타자 존중’ 유아 인성교육의 텍스트로서 토미 웅거러 그림책에 대한 연구
- 의과대학생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 전문직 간 협력 준비도 차이
- 대학원 교육의 환경적・교육적 요인과 대학원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 학교장의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인식의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시스템 이론에 기반 한 ‘숙의형 타운미팅’ 프로세스의 개념 모형 연구
- 「제4차 (’13-’17)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평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